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1930년대 김억 著 에스페란토 교재의 한글 표기 연구 (A Study on the Esperanto-to-Hangeul Transliteration in Kim Eok's Esperanto Tutorials in the 1920s and 1930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6
33P 미리보기
1920-1930년대 김억 著 에스페란토 교재의 한글 표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38호 / 171 ~ 203페이지
    · 저자명 : 신현규

    초록

    김억은 에스페란토 구사자이자 교육자로서 1922년부터 1932년까지 연재물 셋, 출판 서적 둘로 총 다섯 개의 에스페란토 교재를 발표하였다. 본고는 인공언어로서 에스페란토의 자모와 음소가 고정적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김억의 다섯 교재에 나타난 한글 표기 양상을 확인하고 교재 간의 차이, 음운론적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본적인 에스페란토의 음운론적 특징과 현행 에스페란토 한글 표기를 개괄적으로 다루었다. 이어서 가장 이른 시기에 연재된 「에쓰페란토 자수실」(1922)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이후의 교재를 대조하여 차이점과 특징을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모음 전체, 순음, 성문음처럼 한글 표기 방식이 일정한 것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교재마다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다음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치경음과 후치경음 분석을 보면 한글 ‘ㅈ’을 할당할 수 있는 음소가 에스페란토에 /ĝ/([ʤ]), /ĵ/([ʒ]), /z/([z])로 다양하며 김억은 일관되게 /ĝ/를 ‘ㅾ’, /z/를 ‘ㅇㅈ’으로, /ĵ/([ʒ])를 ‘ㅈ’ 단독 또는 ‘ㅈ’과 j계 상향 이중모음의 결합으로 표기하였는데, 이때 /z/와 /ĵ/에 대한 기술을 되짚어 봄으로써 김억이 평안도 출신임에도 ‘ㅈ’을 치경구개음으로 인식하였음을 밝혔다. 둘째, 에스페란토의 유성음-무성음 대립이 한국어의 평음-격음 대립에 대응하는 체계에서 /g/([g])가 「에쓰페란토 자수실」(1922)에서 ‘ㄱ’이 아닌 ‘ㅇㄱ’으로 표기된 것, /c/([ʦ])와 /z/([z])를 청탁(淸濁) 관계로 본 것, 모음 제시 순서를 로마자의 ‘A-E-I-O-U’에서 일본 가나의 ‘A-I-U-E-O’로 교정한 것 등을 통해 김억의 표기 체계에 일본의 영향이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ĉ/([ʧ])와 /ŝ/([ʃ])를 ‘ㅟ’로 표기한 점, /ĝ/와 /ĵ/, /z/의 상관성을 표기로 드러낸 점 등을 통해 영어ㆍ불어판 교재로부터 받은 영향이 있음을 추정하였다. 이렇듯 김억의 에스페란토 한글 표기를 탐구하여 일편(一片)의 방언학적인 정보를 알아냈으며, 김억이 일본 유학 시절에 에스페란토를 받아들인 흔적이 여럿 있지만 한글ㆍ한국어의 특성과 영어ㆍ불어판 설명 등을 복합적으로 반영하여 끊임없이 더 나은 표기법을 연구하고 추구하였음을 논구하였다.

    영어초록

    Korean poet Kim Eok, also a speaker and teacher of Esperanto, had published from 1922 to 1932 five volumes of Esperanto tutorials, including three columns and two textbooks. This study identifies the trends of Esperanto-to-Hangeul transliteration in Kim's five publications, analyzes their differences, and examines their phonological systems in light of the stable spelling-to-sound correspondence in Esperanto vowels and consonants. To this end, the basic phonology of Esperanto and Esperanto-to-Hangeul transliteration systems in use are discussed generally. A detailed analysis of Esseuperanto Jasusil [A classroom for self-learning Esperanto] (1922), the earliest of Kim's tutorials, is provided and used as a baseline against which to compare his later works for clarifying their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vealed that Kim's tutorials exhibited small and big differences from each other, notwithstanding their uniformity in transliterating the full inventory of Esperanto vowels, labials, and glottals. The main findings are threefold: 1) Considering Korean ㅈ is assignable to various alveolar and postalveolar phonemes in Esperanto (i.e., /ĝ/([ʤ]), /ĵ/([ʒ]), and /z/([z])), Kim's consistent notation of /ĝ/ as ㅾ, /z/ as ㅇㅈ, and /ĵ/ as ㅈ in isolation or as a compound of ㅈ and a glide towards /j/ hints that he perceived ㅈ as an alveolar despite his native Pyeong'an accent, as evidenced by his explanation of /z/ and /ĵ/; 2) While the voiced-voiceless contrast in Esperanto consonants conventionally corresponds to the flat-aspirated distinction in Korean, Kim's transliteration system displays a Japanese influence, given that he rendered in his Esseuperanto Jasusil /g/([g]) as ㅇㄱ rather than ㄱ, interpreted /c/([ʦ]) and /z/([z]) as “clear(淸)" and “muddy(濁)" respectively, and sequenced the vowels as kana-style A-I-U-E-O, not Roman A-E-I-O-U; 3) Kim's system demonstrates a probable influence from the Esperanto tutorials translated into English and French by transcribing /ĉ/([ʧ]) and /ŝ/([ʃ]) with a ㅟ ending, as well as spec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ĝ/, /ĵ/ and /z/ through his notation in Hangeul. By exploring Kim's Esperanto-to-Hangeul transliteration, this paper has clarified a piece of dialectological information, discovered various hints that the poet may well have adopted Esperanto when studying in Japan, and discussed his incessant pursuit of improving his transcription system, especially his contemplation of Hangeul and the Korean language and incorporation of the explanations from Esperanto tutorials written in English and Fren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