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근대화 담론과 이문구의 『우리동네』 연작 (The Discourse on Modernization in the 1970s and Lee Mungu’s ‘Uridongne’ (Our Village, 1981))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02
27P 미리보기
1970년대 근대화 담론과 이문구의 『우리동네』 연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42권 / 42호 / 71 ~ 97페이지
    · 저자명 : 이희정

    초록

    1960~1970년대 한국 근대화의 출발은 박정희가 5.16군부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후, 근대화의 최우선 목표는 가난과 기아로부터의 탈출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나타난 것이 새마을 운동이다. 이것은 농촌의 빈곤과 낙후를 농민의 태만, 자립심과 협동심 부족 탓으로 돌림으로써 정부의 책임을 은폐하려는 정책이었으며, 위로부터 추진된 철저한 국가 주도의 정책이었다.
    이러한 산업화 전략으로 쌓인 근대화 담론의 진리체계는 농가의 소득 수준을 정체 또는 후퇴하게 만들었으며, 그 결과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는 더욱 커지게 되었다. 1970년대의 우리 농촌은 과거에 비해 절대적 빈곤에서는 현저하게 벗어나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상대적 빈곤은 더 절실하게 나타났다. 『우리동네』 연작에서는 1970년대 농촌은 도시 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상대적 빈곤과 더불어 농민으로서의 본연의 욕망보다는 근대 문명 이기에 대한 욕망이 더 간절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우리동네』 연작에 나타나는 갈등은 주로 개발과 전시적 행정의 논리를 내세우는 관과 농민의 대립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관은 공식, 제도, 권위, 금기의 세계를 지칭하며 농민은 곧 비공식, 일상, 위반의 세계와 이어진다. 이와 같은 이항대립항의 성립은 근본적으로 1970년대의 획일적인 근대화의 역작용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동네』 연작에서는 ‘관’의 언어와 ‘민’의 언어의 대립을 무화시켜 권력을 해체하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궁극적으로 『우리동네』 연작이 당대 박정희 정권이 가지는 근대화 담론의 폭력적 측면을 부각시키며 역으로 그 속에서 농민들의 자구적인 목소리를 구성함으로써 전복의 힘으로까지 나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olitical initiative to modernize the rural Korean economy in the 1960s and the 1970s began when the Park Jung-hee administration took power by 5ㆍ16 military coup d’état. Its utmost priority was to lift our economy from poverty and hunger. This urgency gave birth to the Saemaul Movement, which was a government-driven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for rural community. The ‘Saemaul Movement’ passed the buck to the farmer’s negligence, self-reliance, and lack of cooperation as the cause for poverty and underdevelopment of the rural community. The movement was a monumental cover-up of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and a bona fide top-down government-led initiative.
    The flattening or reduction of the farm income was attributable to the truth system of the discourse on modernization, which accumulated as the result of industrialization strategies. Consequently, the incom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widened even furth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 rural community in the 1970s has visibly lifted itself out of absolute poverty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the increase in relative poverty became somewhat more pronounced and devastating. The rural community in the 1970s in ‘Uridongne’ series depicts inflow of urban culture that stimulated conditions for relative poverty. There was also desperate desire, which can be more likened to worldly desire for modern conveniences rather than the genuine aspiration of a farmer, sweeping across the rural area.
    Meanwhile, ‘Uridongne’ series evolve around the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with its development-oriented, window dressing policies and the farmers. The government refers to the world of formal affairs, system, authority, and prohibition, while farmers signify the world of informal affairs, daily lives, and violation. Such binomial opposition is basically an adverse product of one-size-fits-all modernization in the 1970s. ‘Uridongne’ series‘ conflict between the language of the government and the language of the farmers is nullified, dismantling the power and the authority.
    Such depictions in ‘Uridongne’ series highlight the violent aspect of the Park Jung-hee regime’s discourse on modernization. Inversely, the series advocate the voices of farmers as solution providers and agents of subversive 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