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미래과학소설의 사회구조의 전환과 미래에 대한 기대- <80만년 후의 사회>, <이상촌>, <이상의 신사회>를 중심으로 (Transformation of social structure of future science fiction in the 1920s and expectations for the futur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4
45P 미리보기
1920년대 미래과학소설의 사회구조의 전환과 미래에 대한 기대- &lt;80만년 후의 사회&gt;, &lt;이상촌&gt;, &lt;이상의 신사회&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1권 / 1호 / 7 ~ 51페이지
    · 저자명 : 최애순

    초록

    본 논문에서는 미래과학소설에 담긴 당시 대중들의 미래에 대한 기대가 무엇이었는지, 발달된 과학기술로 인한 미래사회에서 그들이 기대한 것은 무엇이었는지 짚어보기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1920년대 국내에 번역 수용된 미래과학소설 웰즈의『팔십만년후의 사회』(김백악 역,『서울』, 1920.4, 영주 역,『별건곤』, 1926.11.1~12.1) 에드워드 벨러미의『이상의 신사회』(『동명』, 1923.1.7~1923.3.11), 그리고 정연규의『이상촌』(한성도서주식회사, 1921)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
    1920년대 윌리엄 모리스의 번안『이상촌』과 에드워드 벨러미의 번역『이상의 신사회』가 당대 대중의 감성에 맞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따라가 봄으로써, 미래과학소설에서 구현한 유토피아가 1920년대 미래에 대한 기대와 사회 개조에 대한 욕망을 반영하는 구심점의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이상촌』과『이상의 신사회』에서 보여주는 이상사회 건설에 대한 기대는 1920년대 유토피아 담론과 사회 개조론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1920년대 시간여행에서 왜 과거가 아닌 미래가 중요했는지, 미래사회에서 기대한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1920년대 미래과학소설과 함께 사회개조론의 핵심에는 과학기술 발전으로 인한 사회구조 시스템 자체의 전환이 전제되어 있다. 1920년대 미래과학소설『팔십만년후의 사회』와『이상촌』,『이상의 신사회』는 당대 사회개조론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허버트 조지 웰즈, 윌리엄 모리스, 에드워드 벨러미는 공교롭게도 모두 ‘미래사회’의 대안으로 사회주의를 주장하는 사회주의자였다. 그들이 펼치는 사회개조론과 이상사회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미래의 유토피아를 건설하였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모리스와 벨러미가 지향하는 이상세계와 웰즈의 유토피아가 어떻게 다른지도 보여주고자 한다.
    『80만년 후의 사회』는 미래의 인류는 퇴화하고 모든 일에 금방 싫증을 느끼고 염세적으로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이상촌』과『이상의 신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미래에 이상사회가 구현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모리스와 벨러미의 이상사회는 비현실적으로 완벽한 반면,『80만년후의 사회』는 과학기술의 힘으로 가게 된 미래사회에서 인류는 오히려 퇴보한 모습이다. 이는 당시 대중감성으로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이다. 현재가 암울한데 미래가 더 힘들다고 한다면 누가 그 힘든 식민지시기를 견딜 수 있을까.『팔십만년후의 사회』는 중단되었지만 허버트 조지 웰즈의 근대적 이상사회「유토피아」와「세계개조안」은 사회개조와 유토피아론을 확산시키는데 영향을 끼쳤다. 웰즈의 모든 저서가 받아들여지기 힘들었다기보다 우울한 미래를 감당한 정서적 여유가 없었음을 보여준다. 그것보다는 미래에 대한 이상사회를 꿈꾸는 유토피아 담론과 사회개조론이 훨씬 힘을 얻었을 것이다.
    1920년대 이상사회 건설과 유토피아 담론은 현실로부터 벗어나고픈 심리와 그것을 바꾸고 싶은 ‘사회 개조’에 힘입어서 확산되어 나갔다. 사회 개조, 진보, 발전에 대한 기대는 1950년대 이후 1970년대까지 한국 SF를 지탱하던 힘이었다. 과학을 통해 선진국으로 도약하려는 기대, 더 발전된 미래에 대한 기대는 희생을 감수하고서라도 사회가 발전하기를 희망했던 한국 과학소설의 핵심 기제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what the public's expectations of the future were in future science fiction and what they expected in future society due to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paper, The Society After 800,000 Years by Wells of Future Science Novel translated into the 1920s in Korea in the 1920s (Dong Myung, 1923.1.7 ~ 1923.3.11), and Jung Yeon-gyu's Ideal Village (Hansung Book Co., 1921).
    By following how Morris Morris's revamped Ideal Village and Edward Bellermy's translation of Ideal New Society were adapted to the sentiments of the contemporary era, the utopia embodied in future science fiction expected the future of the 1920s. In the 1920s, the anticipation of ideal society construction in Ideal Village and Ideal New Society led to the spread of utopian discourse and social reform theory in the 1920s. Let's look into why the future, not the past, was important in time travel in the 1920s and what was expected in future society.
    Along with the future science fiction of the 1920s, the core of social reform theory is the premis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system itself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1920s, the future science fiction The Society After 800,000 Years, Ideal Village, and Ideal New Society led to social reformism of the time. It was a socialist who argued. I would like to show how their social reformation and the anticipation of an ideal society have built the utopia of the future. I also want to show you how the ideal world that Maurice and Bellomy are aiming for is different from Wells' utopia.
    The Society After 800,000 Years predicts that the future humanity will degenerate and become tired of everything and become pessimistic. There is a belief that. The ideal society of Morris and Bellamy is unrealistically perfect, while The Society After 800,000 Years is a regression of humanity in a future society that has been brought on by the power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accept at the time as public sentiment. If the present is gloomy but the future is harder, who can endure the tough colonial era? It affected the spread. All of Wells's books were hard to accept but show that he could not afford the emotional future. Rather, Utopian discourse and social reformation, which dreams of an ideal society for the future, would have been much more powerful.
    In the 1920s, the construction of the ideal society and the discourse of utopia spread through the psychology that wanted to escape from reality and the 'social remodeling' that wanted to change it. Expectations for social transformation, progress and development were the forces that supported Korean SF from the 1950s to the 1970s. The expectation to leap into the developed world through science and the expectation for a more advanced future are the core mechanisms of Korean science fiction that hoped for the society to develop at the cost of sacrif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