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1980년대 노래운동에 대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Study on the Song Movement in the 1970s‒1980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09
28P 미리보기
1970‒1980년대 노래운동에 대한 예비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1권 / 3호 / 305 ~ 332페이지
    · 저자명 : 강영미

    초록

    일찍이 해방기에는 거리 곳곳에 모인 사람들이 다함께 노래를 부르며 해방의 감격을 분출한 바 있다. 다양한 개인이 공공의 장소에 모여 부르던 노래는 1970년대 중후반부터 종교계와 대학가의 노래책으로 집적되기 시작하여 1980년대 중반부터는 노동, 문화, 교육 단체에서도 노래책을 발간하는 방식으로 확산된다. 이 연구에서는 노래운동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1983년까지 발간된 노래책과 그 수록곡의 특징을 살핌으로써, 노래운동 형성기의 특징을 개관하는 예비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노래운동 형성기에는 공동체의 삶을 지향하는 내용의 국내 창작곡이 거의 없었고 그러한 노래를 만들 창작 주체도 충분치 않았다. 때문에 번안곡을 만들고 민요를 재호출하고 시와 시조에 곡을 붙이는 방식으로 현실을 반영한 노래를 모색하였다. 새로운 창작곡은 대학가 노래 써클 메아리에서 대거 등장한다. 이들은 처음부터 운동을 위한 노래가 아니라 좋은 노래에 대한 욕구에서 노래를 따라 부르며 만들기 시작했다. 개인보다는 우리를, 통속적 사랑보다는 시대적 문제의식을 드러낸 노래를 만들었다.
    기성의 노래와 다른 노래를 부르고 싶어하는 욕구가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으로, 지금 여기 우리의 삶을 반영하는 노래 창작으로 이어진 것이다. 자신을 성찰하며 반성하는 내용의 노래는 개인의 내면을 다지는 데뿐만 아니라 그 과정을 함께 한 이들과의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고, 비슷한 문화경험을 한 이들 간의 사회적 연대감을 갖게 한다. 노래를 통한 반성과 성찰은 역사적 개인으로서 어떠한 삶을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지고, 비민주적인 정치체제에 대한 비판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위한 실천적 행위를 하도록 유도하였다.

    영어초록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people unleashed their eruptive emotions of emancipation by gathering around the streets and singing songs along with each other. Those songs that people of diverse backgrounds sang in public places began to be assembled into religious and university singing books from the mid‒1970s, and then released by labor, cultural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from the mid‒1980s. In this study,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carried out to outl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the song movement by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songs and the song books printed up to 1983 before the movement spread in full scale.
    In the formative period of the song movement, there were few original Korean songs aspiring community life with the lack of songwriters; mostly, the songs were, mostly, foreign songs with translated lyrics, revived traditional folksongs, or those with melodies added to old and contemporary poems to create socially conscious songs.
    Later, a large volume of new songs were produced by Meari, a university music circle. From the very beginning, they made songs out of the desire to create good songs rather than with the song movement in mind. The songs were, for the most part, them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rather than love, and collective issues rather than mundane matters concerning individuals.
    The yearning to sing songs different from what was available led to writing songs harboring a critical awareness of society and the life of the here and now. Self‒reflective songs help not only strengthen the inner self, but also build an emotional bond among people who have taken a similar path in life and form a sense of social solidarity out of similar lived experiences. Reflections mediated by singing lead the subject to think about what kind of life to seek as an individual in the given historical context and to follow up with actions to realize a better life through the criticism of the undemocratic politic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