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80년대 방송 제작 창극의 현황과 특징 (The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Changgeuk(Korean Classical Opera) in the 1950s to the 80s)

6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05
63P 미리보기
1950-80년대 방송 제작 창극의 현황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71호 / 235 ~ 297페이지
    · 저자명 : 송소라

    초록

    본고는 1950~80년대까지 창극에 중심을 두고 제작한 방송 프로그램의 현황을 정리하고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1970~80년대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 제작 창극의 특징을 탐색해보았다.
    방송 제작 창극은 1950년대 가장 활발하게 프로그램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성경린은 <라디오 창극> 프로그램을 통해 창극을 방송에 적극적으로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 1960년대에는 창극이 드라마에 편입되는 독특한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텔레비전의 개국이 본격화되면서, 1950년대 무대공연으로 사랑을 받은 여성국극이 텔레비전을 통해 송출되기도 하였다. 1970년대는 텔레비전을 통해 본격적으로 창극이 제작되었다. 전문 창악인들로 출연진을 구성하여 새 레퍼토리를 극화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1980년대에도 이 흐름이 이어지지만 국악 프로그램에 대한 경시가 심화되면서 프로그램을 지속하지는 못하였다.
    창극은 방송과 결합하면서 창극이 갖는 음악적 속성 못지않게 극적 속성이 중요하게 다뤄진다. 본고는 이를 ① 방송 창극이 갖는 레퍼토리의 다양성 ② 원작 고전소설의 적절한 변형 ③ 도창의 형식 변화 ④ 노래보다 대사 중심으로 창을 활용하는 면을 통해 설명하였다.

    영어초록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in the 20th century, Changguek(Korean classical opera) encountered the public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even after liberation through radio and television. This paper analyzes the state of broadcasting programs, which were produced, based on Changgeuk from the 1950s to the 80s and the development processes. Moreover,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Changgeuk are explored focusing on the programs in the 1970s to the 80s.
    <Radio Changgeuk> of Seoul Broadcasting Station was the first regular program in the 1950s. This program was organized by the master of Gukak(Korean classical music), Seong Gyeong-rin and he was involved in the work under the pen name of Seong Choon-poong. Seong Choon-poong produced a variety of repertories by adding classical novels, works about great men of history and new novels to the existing Changgeuk repertories. <Radio Changgeuk> changed the program name into <Gukakmudae> in the middle of the 1950s and its form varied too. In <Gukakmudae>, the voice actors attended the program and Changgeuk was included in dramas, while in the existing programs, Changgeuk was led by master singers. This trend began in earnest when radio dramas became the mainstream in broadcasting and <Yeonsokchanggeuk> of Donga Broadcasting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the 1960s, Donga Broadcasting produced a Changgeuk drama titled <Yeonsokchanggeuk>. At that time, the dramatist and producer used Changgeuk in making a soap drama. Not Korean classical musicians, actors and actresses played main roles in the drama. Chang(Pansori) was mostly used as background music to maximize character's emotion or the atmosphere of a scene. In the 1960s, television channels were launched in earnest and KBS TV aired a program titled <Gukakeaeui Chodae(An Invitation to Gukak)> on a regular basis. At this time, female Gukgeuk of the 1950s was a primary repertory of broadcasting. However, <Gukakeaeui Chodae> dramatized this to suit a television broadcast rather than showing performing arts as it is.
    <Naegangsan Woorinorae(My Country Our Song)> of MBC TV was a broadcasting program, which put emphasis on Changgeuk in the 1970s. This program consisted of professional Changak musicians and dramatized new repertories. Moreover, it put an aggressive effort into changing Changgeuk into TV plays focusing on Chang and the episodes of the stories.
    In the 1980s, Changgeuk was regularly aired by <KBS Jijeongseok>, though it didn't last long. <KBS Jijeongseok> followed the repertories of <Naegangsan Woorinorae> of MBC TV, but strived to create new repertories such as <Heosangjeon>. It was also intended to make Gukak known to the public, led by a Korean classical musician, Jo Sang-hyeon and a producer, Park Gyeong-sik with a broad understanding of Changgeuk.
    Once Changgeuk is combined with broadcasting, dramatic properties of Changgeuk become as important as musical properties. This paper explains this by analyzing ① a diversity of repertories of broadcasting Changgeuk, ② a proper transformation of original classical novels, ③ changes in Dochang styles and ④ the dialogue-centered use of Chang rather than the song-centered 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