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17년 회답부사 朴榟의 『東槎日記』고찰 (The Study of ‘Dongsa-Ilgi’ of Pak Jae, a Diplomatic Messenger in 1617)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12
30P 미리보기
1617년 회답부사 朴榟의 『東槎日記』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55호 / 83 ~ 112페이지
    · 저자명 : 이상규

    초록

    1617년 회답겸쇄환사행의 부사 박재는 정사・종사관보다 3달 늦게 지명되었다. 광해군이 그를 부사로 지명한 것은 국왕의 외척으로서 강경한 대북 노선을 견지했기 때문이다. 그가 받은 밀명은 쇼군의 답례 은(銀)을 궁궐 영건에 충당하도록 사행 내에서 주선하라는 것이었다. 이 점은 장을 달리하여 후일 본격적인 연구로 진행하고자 한다.
    박재의 『동사일기』에는 회답사의 발행이 늦어진 조선 내부의 사정이 잘 기록되어 있다. 부사의 재차 지명으로 1차 발행이 지연되었고 국내 정치의 요인 때문에도 또 늦추어졌다. 일본 사자가 수차례의 발행 지연에 항의하여 중도 귀환하였는데, 광해군은 부산으로 내려가는 사신에게 지시를 내려 발행이 지연된 것으로 서계를 대마도주에게 다시 보내서는 안된다고 하고 추후 새로운 사자가 도해하여 사신을 안내해 갈 것이라고 지침을 주었다.
    부사 박재는 1617년 7월 7일에 부산을 출발하였으나, 대마도에 머물렀을 때부터 찬기침을 하고 몸이 좋지 않았고 전명을 위해 교토에 체류했을 때는 학질을 심하게 앓아서 외부적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전문으로 일록을 적고 外遠祖 정몽주 또 김성일이 지은 시에 차운하였다. 그는 성종대에 대마도경차관으로 다녀온 외증조 권주의 행적을 찾기 위해 쓰시마번 외교승에게 물었고, 오사카의 사카이에 이르러 1590년의 김성일, 1596년의 황신이 거쳐간 곳을 가늠해 보기도 하였다.
    박재의 『동사일기』는 사행 중 내내 건강이 좋지 않아 일록의 양이 간략하고 시문의 양이 많이 실렸다. 이 사행록은 저자의 필체가 아니라 제3자가 저자의 것을 필사한 것이다. 때문에 이름자가 틀리고 인명・관직이 틀리고 필사하면서 고쳐쓴 흔적이 남았다. 이런 약점에도 이 사행록을 정사 종사관의 것과 대조해 보면, 부사의 사행록은 도성 출발에서 도성 도착까지 전체 여정을 기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방식은 1590・1607・1617・1624・1636년 일본사행에서 유지된 관행이었다. 특히 1617년 경우와 같이 삼사의 사행록이 있는 경우에는 서로를 비교해서 읽어서 사행록의 다면적인 속성을 고찰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어초록

    In 1617, Pak Jae was nominated as the vice-envoy of a diplomatic mission tasked with delivering a king’s letter and repatriating the prisoners of war. The nomination of him was three months later than the envoy and the associate envoy. The reason why Gwanghaegun nominated him as the vice-envoy was that he was a maternal relative and had been assuming a hostile position toward the faction led by Jeong In-Hong and Lee Yi-Cheom(大北). He received a secret order to prevail on the delegation to devote silver, an acknowledgement from the shogun, to the construction of a palace. This subject is to be addressed later.
    Pak Jae’s ‘Dongsa Ilgi (a report on the diplomatic trip to Japan)’ well shows the reason the delegation was delayed in their departure. The first delay was caused by the re-nomination of the vice-envoy, and the second was by political circumstances in Joseon. The Japanese envoy made complaints about repeated delays in the mission’s departure and returned midway through. The king of Joseon ordered the mission on their way to Busan not to resend the diplomatic document to the Tsushima governor for the reason that they were delayed in departure, and he preindicated that a new envoy would come across the sea and guide to Japan.
    The vice-envoy, Pak Jae, departed from Busan on January 7th, 1617, but got a chest cold after arriving at Tsushima. His condition disorder eventually led to severe malaria when staying in Kyoto. He could not do his work properly and thus made daily records by hearing from others. Besides, then, he composed poems by rhyming with words from poems written by Jeong Mong-Ju his maternal remote ancestor and Kim Seong-Il. In the meantime, he asked a diplomatic monk in the Tsushima Fief about the tracks of Gwon Ju, his maternal great-grandfather who was sent on an embassy to Tsushima in obedience to the order of King Seongjong (the 9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jectured the tracks of Kim Sung-Il in 1590 and Hwang Sin in 1596 after arriving at Sakai, Osaka.
    ‘Dongsa-Ilgi’ is organized by brief daily records as he was out of health during the diplomatic trip. Instead, it contains lots of poems. Meanwhile, it was not written by Pak Jae but was transcribed by a third party. As the case stands, many errors are found in names, posts, etc., along with the signs of redrafting. Unlike the records of the envoy and the assistant envoy, however, it covers all the course from departure to homecoming. That is like a custom found in reports on diplomatic trips to Japan in 1590, 1607, 1617, 1624 and 1636. Especially in the diplomatic trip in 1617, it is noteworthy that there are records of three envoys, which suggests that they should be compar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o inquiry into the various facets of diplomatic trip repo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