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서울지역 전차교통의 한계와 철거 (The limitations and demolition of tram transportation in Seoul during the 1960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06
34P 미리보기
1960년대 서울지역 전차교통의 한계와 철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3호 / 222 ~ 255페이지
    · 저자명 : 최인영

    초록

    이 논문은 1960년대 서울에서 도시교통의 한 축을 담당한 전차가 운행을 중단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시기의 교통시스템이 식민지시기와 단절되면서 새롭게 형성되는 과도기였음을 알 수 있었다.
    戰後 서울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1963년 서울시의 행정구역이 확장되었다. 이로 인해 전차의 운행 범위를 넘어선 도시개발이 구상되었고, 도시교통으로써 전차의 역할도 거론되었다. 하루 평균 50만 여명을 수송하던 전차는 교통 혼잡이 가장 극심한 통근・통학 시간대의 교통 분담 차원에서 여전히 필요했지만, 당시 자동차의 통행을 방해하고 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인식되면서 철거론이 제기되고 있었다.
    이에 따른 서울시의 고민은 1965년 고속전차의 건설 계획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지만, 전차의 한계를 고속전차로 극복하려 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는 전차교통에서 고속전차로의 전환, 즉 대량수송이 가능한 대중교통의 확립이라는 측면을 중시한 것이었다.
    그러나 1966년 김현옥 시장의 등장은 도시교통의 변화를 예고하였다. 김 시장은 첫 공약으로 교통난 완화책을 발표한 직후 지하도 공사를 시작하였고, 육교와 입체교차로, 고가도로를 건설하면서 자동차와 보행자를 분리시켰다. 이 시기 서울의 공간은 자동차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 속에 있었다. 당시 국가차원에서 경인・경부고속도로 건설이 추진되던 상황을 고려해 보면, ‘전차의 시대’에서 ‘자동차의 시대’로의 이행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결국 식민지시기 한정된 공간을 운행하던 전차교통은 1960년대 서울의 영역 확장에 따른 한계에 직면하였고, 김현옥 시장의 등장으로 1968년 운행을 멈추었다. 개통된 지 70년 만의 일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emolition process of trams that played a key role in the transportation of Seoul City in the 1960s. Through this, we could understand that it was a new transitional period for the transport system after the colonial period.
    With the population concentrated into Seoul after war,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ity was expanded in 1963. This led to the urban development plans beyond the range of tram networks, and discussion over the role of trams as urban transportation. Trams that used to transport about average 500,000 passengers a day were still necessary to relieve the traffic burden especially during the rush hours, but some people insisted on demolishing them for their disadvantages obstructing automobile traffic and causing accidents.
    Accordingly, Seoul City decided to construct high-speed trams in 1965. Although this plan was not realized, it has significance for trying to overcome limitations of trams with high-speed trams; this was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enabling mass transport by converting from trams to high-speed trams.
    In 1966, the appearance of Mayor Kim Hyun-ok forecasted changes in the tram transportation. Mayor Kim started underground construction after announcing his first pledge, ‘Relieving traffic congestion,’ and separated automobiles and pedestrians by building overpasses, pedestrian bridges and elevated roads. At that time, space in Seoul was undergoing the process of reorganizing focused on automobiles. Considering that the construction of Seoul-Incheon and Seoul-Busan expressways was in preparation at the national level, the transition from ‘the era of trams’ to ‘the era of automobiles’ was natur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