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중과 유토피아: 1984년 이후 황석영 문학과 미륵신앙 (Minjung and Utopia: Hwang Seokyong and his maitreya faith after 1984)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12
26P 미리보기
민중과 유토피아: 1984년 이후 황석영 문학과 미륵신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9호 / 39 ~ 64페이지
    · 저자명 : 이철호

    초록

    1970년대를 대표하는 황석영 문학의 서사적 세계가 ‘남(南)’의 유토피아로 귀결된 다는 사실은 주목된다. 이 지리적 표상은 미륵(彌勒) 신앙의 전통과 연결될 뿐 아니 라, 동학(東學) 사상에 심취하여 김지하가 쓴 『남(南)』(1982)의 주제의식과도 연결 된다. 그런데 미륵 신앙은 1989년 방북 이후의 절필로 황석영 문학에서 사라진 것이 아니라, 2000년대의 장편소설 3부작을 통해 더욱 확장된 서사적 세계를 획득하게 된다. 『심청, 연꽃의 길』(2003)에는 세계자본주의 체제하에서 신음하는 민중들의 초민족적, 초국가적 연대가 형상화되어 있으며 심청은 미륵의 동아시아적 현신이다. 민중을 영성(靈性)화하는 1970-80년대 민중문학의 재현 방식은 『심청』에서도 여전히 서사적 권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하지만 ‘민중의 영성화’가 2003년의 시점에서도 여전히 저항담론으로서의 위력을 지니는지는 의문이다. 19세기 제국주의의 역사적 기원으로 되돌아간 『심청』의 동아시아 서사는 오히려 각 지역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를 균질화하는 식민(植民)의 플롯과 흡사하다.

    영어초록

    It is remarkable that the narrative world of Hwang Seokyoung, which represented the literature of the 1970s, comes down to the ‘South’ utopia. This geographical representation is not only linked to the tradition of Maitreya faith, but also linked to the main theme of South (1982), which was written by Kim Jiha who was fascinated with the thought of Donghak. This Maitreya faith did not disappear from Hwang Seokyoung’s literature due to his giving up writing after his visit to North Korea in 1989, but came to acquire a more extended narrative world through his novels of trilogy in 2000s. In his novel Simcheong, the Road of Lotus (2003), the trans-ethnic and trans-national solidarity of the people (Minjung) groaning under the global capitalism was embodied, and the main character, Simcheong, was a kind of manifestation of Maitreya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Minjung literature of 1970s~80s which made the people (Minjung) spiritual still displays its narrative authority in the novel Simcheong.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piritualization of Minjung still has the power of a Resistance Discourse at the time of 2003. The narrative of East Asia in Simcheong which returned to the historical origins of imperialism in the 19th century rather resembles a colonial plot which homogenize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each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