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후기 신문 短評의 비평사적 가치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Danpyung' (Short Reviews) in Journals in the Late 1930s on the History of Korean Criticism)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12
49P 미리보기
1930년대 후기 신문 短評의 비평사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83호 / 197 ~ 245페이지
    · 저자명 : 이해년

    초록

    단평은 1935~1940년 무렵까지, 4개 신문의 학예면과 문예종합지(신동아, 문학, 人文評論, 西海公論, 批判, 청색지 등)에 실렸는데, <동아일보>의 「정찰기」,「사백자평론」, <조선일보>의 「탐보대」, 「소형논단」, <조선중앙일보>의 「필탄」, 「미네르바-의 소총」, <매일신보>의 「납량대」란 등 20개 이상의 단평란이 있었다. 편당 400~800자 정도의 一回 단편물이 대부분이고, 2~3회 연재물도 많은데, 500여 편이 넘는다. 단평란의 필진은 저널리스트들로, 당시 문단에 영향력 있던 작가, 시인, 평론가들이었으므로, 文藝時評이 대부분이고 작품론, 작가론, 비평가론, 문학이론, 詩作法 등 전문적 비평이 많다. 단평은 당시의 文藝時評의 성격을 내용상으로 계승한 것이며, 일본 신문단평을 형식상으로 수용하여 변모한 비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평에는 時事性을 뛰어넘는 문학성(비평성)과 문학사적 가치가 내재해 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단평이 가지는 우리 비평사적 가치와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1. 본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 단평은 작품론, 작가론, 문학이론, 등의 측면에서 정확한 평가와 이론 전개를 보였던 가치 있는 비평이다.
    2. 문학 外的인 측면에서 볼 때, 단평은 우리 批評史上 존재가치가 큰 비평형식이다. 또 흐름을 개괄하면 우리 문예비평史로 정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며, 現代文學史의 흐름 파악에도 기여하리라 본다. 문학작품의 바른 이해와 평가를 위해서 문학裏面事나 文壇事에 관한 자료가 꼭 필요하다고 할 때, 단평은 문학연구를 위한 보조적 자료로서 가치가 큰 비평이다. 또, 날카로운 비평성을 구사한 몇몇 전문적인 단평 필자를 배출한 비평이다.
    3. 비평의 기능면에서 볼 때, 단평도 독자와 전문지식인 간의 거리를 좁히고 융화시킨 의의와 당시 위기의 문단에서 훌륭한 지침 역할을 수행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한 결과, 단평은, 짧은 길이에서 오는 선입견으로 지금까지는 도외시되어 왔고 본격비평에 비해 낮은 가치평가를 받을 수 있지만, 긴 시간동안 많은 양의 단평작품을 산출한 비평이고, 문학사적 의의와 가치가 충분한 비평장르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과연 단평은 비평으로서 어떤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 문학이었던가를 따져 한국근대문학비평사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단평의 비평문학으로서의 본질적 가치를 밝히는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Danpyung’ (short reviews) put in the journal literary columns from 1935 to 1940, as a link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ry criticism.
    The authors of ‘Danpyung’ are mostly journalists, who are also novelists and critics having an effect on the literary world at that time. Therefore, ‘Danpyung’ has a great possibility of possessing the literariness(or criticality) and literary historical value.
    In this paper, ‘Danpyung’ is studied on the valuation in th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As a result, the Value of ‘Danpyung’ in th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is as follows: 1. Like ‘comments on current literature’, ‘Danpyung’ is a form of criticism similar to an essay, originated from the constitutional feature in the literary world of those days.
    2. In consideration of the criticality as one of essential elements of criticism, ‘Danpyung’ is a valuable criticism with the correct estimate and theory in the aspects of essays on works, authors, the currents of literary thoughts,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etc.
    3. The significance of ‘Danpyung’ in the history of criticism is as follows : First, ‘Danpyung’ is very worthy to be considered in the history of criticism, because it exists in the Journal literary columns for a long time and the number of it is considerable.
    Second, ‘Danpyung’ is helpful to the grasp of the currents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It is also valuable as an assistant material for the correct estimate and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Third, ‘Danpyung’ has the significance in making familiar the relation between popular readers and literary specialists and making both harmonious. I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covering the literary world in crisis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