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비문학연구』 30년, 민담분석의 성과와 과제 (30 Years of Research in Oral Literatur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n the Analysis of Folktale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9
49P 미리보기
『구비문학연구』 30년, 민담분석의 성과와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70호 / 91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정은

    초록

    본 논의에서는 1993년 한국구비문학회의 설립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된 30여 년 동안, 『구비문학연구』 학회지에 수록된 민담 논의를 대상으로, 구비전승된 민담을 ‘민담답게 분석해가는 것은 무엇인가’를 화두로 민담분석의 성과와 이후 과제의 쟁점에 대해 논했다.
    민담의 화소(話素)에 대한 연구는 상징성과 형상화에 대한 연구들도 많았지만, 민담으로 변형되었다고 하더라도 신화적 화소들의 속성이 파괴되지 않고 기능하는 고유성을 논증하는 연구와 개방성에 주목해 인접유형과 의미를 비교하는 연구를 살펴보았다. 여러 민담에서 화소를 쓰는 방식에 따라 생성되는 심층적이고 다의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두 가지 방향의 연구성과에 주목하여, 앞으로 화소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화소가 민담에서 어떻게 의미를 함축하고 발현해 가는가는 구비문학의 영역에서 더욱 심층적으로 해석해 가야 하는 연구 과제일 것이다.
    민담의 서사구조를 통한 의미 분석의 성과와 과제에서는 잘 기억하게 하고 재현하게 하면서도 변이되는 구비문학의 특징을 형식에 주목해 연구한 흐름을 살펴보았다. 한국민담을 맥락적으로 풍성하게 해석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 단위담의 설정, 서사문법, 서사적 화두 중심 설화분석 프로세스, 설화의 확장 패턴 등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의미해석의 미적연구가 더욱 체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민담의 문제해결방식을 통해 어떻게 인지·정서의 변화를 이끌며 현재적 담론을 생성하는가에 주목했을 때, 민담을 통해 현대인의 삶의 문제를 해결할 중요한 단서를 자연의 본질을 알아내거나, 근원적 통찰력을 획득한 이인이나 여성의 지혜에서 찾으며, 이를 현실의 철학적·사회적·문화적인 담론을 생성하게 하는 연구사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었다. ‘가족관계의 갈등’을 주제로 한 민담 연구에서는 당대의 ‘효의식’이라는 담론으로 벌어지는 문제들에 대해서, 지배적 관념과 통념을 넘어서는 ‘이면’을 분석하여 대안적 가치를 생성해간 논의에 주목하였다. 문학치료학은 인간을 서사적으로 이해하는 학문으로 인간관계와 우리의 삶에서 벌어지는 ‘문제’와 그 ‘해결’을 민담 속에서 찾고 있으므로, 민담을 통한 정서적 변화를 이끌어가는 연구가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AI시대를 맞이하여, 설화 자료를 화소의 색인으로만 검색하는 것을 넘어서, 화소와 단락, 의미의 검색, 적층과 변이라는 구비문학의 특징을 살려서 복합유형과 인접유형까지 포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민담의 유형화 및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discussion, spanning the past 3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Oral Literature Society in 1993, focuses on studies of folktales in the Journal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explores the achievements and issues in the analysis of folktales transferred orally, with the central question being, “What does it mean to analyze folktales in a truly folkloric manner?” Research on motifs in folktal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first aims to demonstrate that even when myths are transformed into folktaless, the attributes of mythic motifs remain intact and functional. The second focuses on openness, examining the profound polysemic meanings folktales generate based on the method of comparing motifs in various folktales to neighboring types. Studying how symbolic motifs are intricately connected to the story, and how they encapsulate and manifest meaning within folktales is a task that needs to be interpreted more profoundly within the realm of Korean oral literature.
    In the discussion of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n analyzing the meaning of folktales through their story structures, this article examined the trajectory of research on the form of oral literature, which allows for ease of memory and reproduction while also permitting variations. This article also forecasts that the interpretive analysis of Korean folktales will become more systematic through structural analysis, such as the unit of story point that explores rich contextual interpretations of Korean folktales, the grammar of stories, the process of analysis of folktales centered on narrative issues, and expanded patterns of folktales.
    The chapter “Changes in Cognition and Emotion through Problem-Solving Methods in Folktales and the Creation of Contemporary Discourse” explains that important clues to solving the problems of modern life may be found in folktales regarding the essence of nature, the profound insights acquired by a remarkable person, or the wisdom of women. Through this, trends in the history of research on folktales that generate modern philosophical, social, and cultural discourse weremay also be examined. In studies of folktales with the theme of “conflicts in family relations,”’ the focus is on discussions that create alternative values by analyzing the “reverse side” to problems that arise when filial piety is the prevailing discourse, going beyond the dominant notions and common ideas. Literary therapy explores human narrative and seeks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solutions” in human relationships and our lives that appear in folktales. Through literary therapy, research on folktales that can lead to emotional change will expand in the future.
    Finally, in modern society,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it will be necessary to go beyond forexamining folklore materials based solely on the index of motifs. Instead, we should construct a comprehensive database that encompasses compound and neighboring type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oral literature, such as motifs and paragraphs, search for meanings, stacking, and variations. To achieve this, ongoing research on the categorization and systems of classification of folktales is essent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