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치 받지 않을 자유 - 미셀 푸코의 마지막 5년 (Freedom Not To Be Governed in Michel Foucault's Last Five YearsFreedom Not To Be Governed in Michel Foucault's Last Five Years)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6
60P 미리보기
통치 받지 않을 자유 - 미셀 푸코의 마지막 5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97권 / 293 ~ 352페이지
    · 저자명 : 김용규

    초록

    이 글은 미셀 푸코의 마지막 5년 동안의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이 시기의 푸코 사상의 전체적 윤곽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1970년대 후반 『성의 역사 1-앎의 의지』를 전후로 푸코는 자신의 권력 개념을 규율, 전쟁, 생명정치, 안전, 통치성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정교하게 다듬어 갔다. 하지만 80년대 들어 푸코는 자신의 방법과 탐구 주제를 새롭게 변경한다. 그는 탐구 주제와 영역을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삶의 철학과 초기 그리스도교 사상으로 이동하는 한편, 이를 탐구하기 위한 문제설정에서도 ‘권력에서 통치로’ 전환한다. 권력에서 통치로의 전환은 무엇보다 주체화와 그 계보를 탐구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끼친다. 우선 권력의 관점에서는 주체가 지식과 관련해서 어떻게 구성되는가 하는 데 주된 초점이 주어져 있다면, 통치의 관점에서는 진실과의 관계 속에서 주체가 어떻게 스스로를 구성하는가 하는 것이 초점의 대상이 된다. 전자의 관점에서 주체가 규율과 생명정치의 대상이 되는 예속화가 중요했다면, 후자의 관점에서는 주체가 자기와 자기, 자기와 타자 간의 관계를 변형시키는 주체화의 과정이 중요해진다. 이 글은 80년대 푸코의 사상과 이론에 나타난 이러한 변화의 전체적 과정을 탐구하면서 그것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Michel Foucault's theory during his last five years before his untimely death in 1984.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History of Sexuality, Vol. 1: the Will to Knowledge in 1976, Foucault continued to expand and elaborate his concept of power from the perspective of discipline, war, biopolitics, security, and governmentality. But in the 1980s, Foucault changes his methods and research topics again. He moves the themes of inquiry into the philosophy of Ancient Greece, Hellenism, Rome, and Early Christian periods, and also tries to make a shift from power to government as the method for exploring it. The shift from power to government has an important impact on the thinking of subjectivity and its genealogy. Above all, the main focus changes from the question of how the subject is constituted to the question of how the subject constructs itself.It means that if what is important in the former is subjection, in which the subject is controlled by discipline and biopolitics, subjectivation in which the subject transform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neself, self and others, is essential in the latter.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at once this change in Foucault's ideas and theories in the 1980s and the meaning of its effect on present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