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의 교착상태와주변국의 상황 인식 연구 ‒1975년~1979년까지의 사할린 한인동포 관련외교문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gnation of the Return of Korean Residents in Sakhalin and the Perception of the Situation in Neighboring Countries -Focusing on diplomatic documents related to ethnic Koreans in )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05
18P 미리보기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의 교착상태와주변국의 상황 인식 연구 ‒1975년~1979년까지의 사할린 한인동포 관련외교문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근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근대학연구 / 84호 / 97 ~ 114페이지
    · 저자명 : 박희영

    초록

    본고에서는 1975-79년까지의 외교문서 기록들 중에서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와 관련한 사항을 중심으로 당시의 교착상태 속의 시대상황, 주변국들의 상황 인식, 민간차원의 움직임 등을 살펴보았다. 1975년까지의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는 1965년 한일협정을 계기로 조금씩 외교적 의제로 자리잡아 가기 시작하였다. 커다란 성과를 이루지는 못하였지만 의미 있는 자취를 남기며 주변 당사국들 간의 고질적인 한계를 넘어서려는 시도를 지속적으로 전개하던 시기였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들 속에서 한국, 일본, 소련의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의 책임있는 당사국들의 시대인식과 이해관계는 해방 이후의 인식 수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교착상태에 빠져들 뿐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노학을 비롯한 민간차원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시민사회의 활발한 활동은 당시 교착상태 속에 놓인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의 새로운 물꼬를 터주는 이정표와 같았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교착상태 속에서도 조금씩 진전된 모습을 보이는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의 자취를 1975-79년까지의 한국생산 외교문서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현재 일정부분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낸 밑바탕에는 지난한 세월의 흐름 속에서도 앞으로 나아간 민간 시민사회의 끊임없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stalemate at the time, the perception of the situation in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movement of the private sector, focusing on matters related to the return of Korean residents to Sakhalin among the diplomatic document records from 1975 to 1979. Following the 1965 Korea-Japan Agreement, the issue of the return of Korean residents to Sakhalin gradually began to become a diplomatic agenda. Despite not achieving significant results, it was a period of continuous efforts to overcome the chronic limitations of neighboring parties, leaving meaningful traces. However, despite these attempts, the perception and interests of the responsible parties to the issue of the return of Korean residents to Sakhalin in Korea, Japan, and the Soviet Union, were unable to deviate from the level of perception after liberation and were deadlocked.
    In this situation, the continuous and active activities of civil society at the private level, including Park Noh-hak, were like a milestone opening a new way for the return of Sakhalin Korean-Americans in the deadlock at the time. As such, in this paper, traces of the return of Sakhalin Korean-Americans, which showed little progress despite the deadlock, were confirmed through diplomatic documents produced in Korea from 1975 to 79. This is because the continuous efforts of private civil society, which have moved forward despite the passage of the past years, have been the basis for some meaningful results at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