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0년대 ‘한국화’ 담론의 원시주의적 성격 (An Analysis of the Discourses on 'Korean Painting' in 2000s: Politics of Primitivism)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9.06
12P 미리보기
2000년대 ‘한국화’ 담론의 원시주의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0권 / 3호 / 143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학량

    초록

    전통회화의 매체와 회화적 관례, 미적·정치적 패러다임과 의식 등을 기원으로 삼는 그림들을 지칭하는 이른바 ‘한국화’는, 일제 강점기 식민주의 이데올로기의 하나로 고안된 이후 줄곧 사용되어온 ‘동양화’에 대한 대체 개념이며, 한국화 담론은 그 식민주의적 개념의 우산 밑에서 희미한 기억으로서 근근이 유지되어 온 ‘한국적’ 정체성을 회복한다는 선언으로서 출발했다.
    한국화 담론은 ‘현재’(the present)를 ‘서구’와 ‘현대’의 가치 체계와 속성이 훼손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한국의 역사적 삶을 지탱해 온 전통과 그 가치들이 급격히 붕괴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이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을 끊임없이 호출하면서 그것을 절대적 실재로서 환생시키려 한다. 현재를 성찰할 겨를이 없는 한국화 담론이 귀의하고자 하는 곳은 바로 명목적 전통 그리고 과거의 잔영(afterimage)이다. 그것은 때 묻지 아니한 순수한 곳, 끝내 돌아가야 할 미학적 이상향으로서 ‘원시(primitive)’라고 간주되지만, 그것의 현실적 정합성에 대한 검토는 거의 금기시된다.
    결국 한국화 담론은 과거(동양․전통․자연 등)를 단순히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회복’하려는 것이다. 유일하고 궁극적인 기원의 자장 안에서 [선험적으로 확정되어 주어진] 근본 원리, 중심 개념을 확립하고 독점하는 것, 이는 전형적인 정치이자 형이상학이다.

    영어초록

    The ‘Korean Painting’ is a substitute for the term of 'Oriental Painting' which had been devised as part of a colonial ideology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fore, the vaguely remembered declaration of recovery of Korean(or national) identity under the colonial state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ebate on Korean Painting. Nevertheless, it seems that the cultural political justification for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in place of memory of colonialism has not been properly accompanied by aesthetic or institutional practice.
    The discourse on Korean Painting is on the premise of ontological difference between tradition/contemporary, the East/the West, which cannot be compromised. This resulted in a unilateral criticism of the contrary in the normative frame of good/evil.As a consequence, we failed to understand or explain the reality that changes rythmically and dynamically in the circumstance of contradiction and reconciliation.
    This de-contextualisation of the tradition based on primitivism gives a legendary authority to the tradition―especially, the ideology and methodology of the literati painting. At the same time, it blindly abstains from examining its validity in the present times.
    The discourse on Korean Painting seems not to 'celebrate' but to 'restore' the past as well as the notion of the East, tradition and nature. In other words, the goal of the discourse is to establish and to obtain the possession of the fundamental theory or core notion within the only and ultimate 'magnetic field of the origin'. This is also a typical politics and metaphys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