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7년 남북 문단과 이념적 지형도의 형성 (The North and South literary circles and Making Topographical map in 1947)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04
32P 미리보기
1947년 남북 문단과 이념적 지형도의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39호 / 427 ~ 458페이지
    · 저자명 : 이민영

    초록

    해방기의 문단은 당대의 정치 현실에 대한 인식과 긴밀하게 상호작용해 왔다. 따라서 기존의 해방기 문단에 대한 연구는 정치적 입장에 따른 문단의 갈등 상황을 전제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해방기의 정치 현실이 혼란기로 단순화 되면서 해방문단의 갈등 양상 또한 각자의 정치적 입장에 의한 혼전양상으로 파악되어 왔다. 이러한 문단 상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정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변화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방직후는 남북의 정권이 수립되기 시작한 시기인 동시에 남북 통합에 대한 요구가 가장 격렬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946년 말 이후부터 이러한 정치적인 현실과 조선민족의 요구 사이에 존재했던 갈등 관계가 정리되면서 38선을 경계로 하는 남과 북의 공간에도 특정한 이념적 정체성이 확보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 가장 민감한 의식을 보였던 것이 바로 문단내의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 문학 단체의 기관지인 『문화전선』, 남한 좌익계열 문학 단체의 기관지인 『문학』, 그리고 미군정의 원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해방기의 대표적인 문학잡지인 『백민』을 비교함으로써 1948년 이후 고정화된 남과 북의 문단 담론이 어떻게 그와 같은 극단의 형태를 띠게 되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게 된다.
    이들 매체는 1947년에 들어서면서부터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데 이는 당대의 사회가 남한과 북한이라는 공간에 이념적 정체성을 부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북한의 『문화전선』이 고상한 리얼리즘을 구체화 하면서 ‘응향’ 사건에 대한 결정을 공시하던 순간, 남한의 『백민』은 이들의 결정에 반발하면서 정치위주의 문학론을 적극적으로 비판해 나간다. 문단의 통합 논리를 주도하던 『문학』은 투쟁적인 입장으로 그 태도를 바꾸고 결국 미군정과의 대립 속에서 자체의 논리를 잃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당대의 사회가 1947년을 기점으로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냉전적 공간 인식으로 이행해 가고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변화 속에서 1947년의 문단 담론이 일정한 방향을 중심으로 이념적 정체성을 형성해 가고 있다는 점과 이를 통해 하나의 민족으로 사유되던 조선적 지형도에 3.8선을 중심으로 분리되는 두 개의 공간을 상상될 수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Korean literary circles in liberation period is closely connected and interactswith political reality. That is why existing studies about the Korean literary circlesare premised on political conflicts. Considering political situation as chaos, however,simplifies the various literary discourses as only a confused fight. Therefore it is importantto specify the discourses in literary circle in order to comprehend historical meaningof their conflicts of discourses.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the North and South Korea started to build their owninstitution but at the same time, there were many people who had intense aspirationfor a nation united North and South Korea. After end of 1946, these conflicts betweenpolitical reality and demands of people were arranged and the ideological identity basedon the 38th parallel was built. The literally circles infected by that change, also startedto build their own discourse fitted in their new spacial identity.
    By comparing the two representative magazines of North and South Korea- MunhwaJeonseon (Cultural Front) and Baekmin- and Munhak(literature) which is the officialmagazine of the most influential literature association(Munhaka Dongmang) in the earlyliberation period, We can explain how the discourses of literally circles had changedtheir logic so extremely. These magazines had been changed rapidly in 1947 and whatmade them change was the society that started to put the meaning of ideological identityon spacial form of the North and the South. Magazines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lmost at the same time, made clear their ideological decisions, by declaring“Noble Reality” through Munhwa Jeonseon and “Pure Literature” through Baekmin. AndFinally Munhak which was in the contradicted situation between ideological and specialidentity lost their position. Passing 1947, the 3.8th parallel was set not only as spatialboundary but also as ideological bound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