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기독교사상』의 창간과 그 방향 (Founding and Direction of The Christian Thought in 195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11
45P 미리보기
1950년대 『기독교사상』의 창간과 그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48호 / 201 ~ 245페이지
    · 저자명 : 윤정란

    초록

    이 연구는 『기독교사상』이 1950년대 한국사회에 왜 출현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기독교사상』이 경제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창간된 배경으로는 반공이 아닌 승공의 필요성 때문이었다. 신비주의와 교회의 분열은 자유주의 신학을 반대하는 근본주의 신학자들의 문제라는 것을 비판하면서 이들에 의해 한국교회의 모든 문제가 노정되었다고 보는 시각이었다. 타계주의적, 개인주의를 강조하는 근본주의는 한국사회와 분리되어 있으며, 이러한 분리로 인해 기독교를 반대하는 공산주의를 오히려 더 많은 사람들이 지지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공산주의에 대한 무조건적인 적대가 아닌 승공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교회가 사회의 문제에 깊이 관여하면서 공산주의가 뿌리내리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반공이 아닌 승공을 주장했다. 한국기독교계가 사회와 분리된 채 타계주의, 개인주의 등을 강조하는 맹목적인 신앙으로서는 공산주의에 대처할 수 없다고 인식했다. 이를 위해 기독교계의 승공에서 가장 필요했던 것은 깊이 있는 신학의 발전이었다.
    한국교회의 모든 문제가 신학적 훈련의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기독교사상』은 그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갔다.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를 떠나고 배척하게 되면 결국 사회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산주의에 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게 되어 기독교는 생존하기에도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신학적 훈련에 있다고 보았으며, 『기독교사상』은 이를 담당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은 적극적인 민주주의 선전과 실천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후 『기독교사상』은 한국사회 민주화운동 세력들의 이론적인 토대를 제공해주는 중요한 잡지로서 역할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began because of interest in why 『The Christian Thought』 appeared in South Korea in the 1950s.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The Christian Thought』 despite the economic difficulties was not because of anti‐communist feeling, but rather because communism needed to be defeated. The division of Mysticism and the Church as a problem of fundamentalist theologians who are opposed to liberal theology was criticized and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y were responsible for all of the problems of the Church in Korea.
    Fundamentalism emphasizing eternal life and individualism was separated from South Korea which made people concerned that anti‐Christian people would support communism. There were opinions that were not just against communists, but rather that communism needed to be defeated. The reason behind this was that, while the church was deeply involved in the problems of society, it held the position that communism must be rooted out. People recognized that Korean Christendom could not cope with the communism as it was based on blind faith, separated from society and emphasizing eternal life and individualism. Thus, for defeating communism, Korean Christendom most needed theological development. Since all of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stemmed from a lack of theological training, 『The Christian Thought』 fulfilled its role faithfully: It would be difficult for Christianity to survive in Korea if many people leave and reject the church and become sympathetic to communism, because of its deep interest in social issue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problem lay in theological training and 『The Christian Thought』 was in charge of solving the problem. Its founders emphasized that aggressive propaganda and practice of democracy could overcome this problem. From then on, 『The Christian Though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magazine provid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f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