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0년대 이후 국내 현대장신구 분야 연구 동향 (The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of Contemporary Jewelry Since the 2000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12
12P 미리보기
2000년대 이후 국내 현대장신구 분야 연구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0권 / 6호 / 379 ~ 390페이지
    · 저자명 : 이진아

    초록

    우리나라의 현대장신구 분야는 뛰어난 작품성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학술적 연구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현대장신구 분야의 학술 연구경향을 정리하여 연구 유형별 정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 현대장신구분야 연구의 발전양상을 파악하고 향후 지속될 연구주제의 설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대장신구의 발생 및 영역의 구분을 정리하였으며 현대장신구의 정의를 고찰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양적분석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과 범위는 최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2000년도이후 국내에서 진행된 현대장신구 분야로 한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과 국내 학술지의 연구가 검토되었고 각 연구는 목적과 주제에 따라 30여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학위논문의 경우 작품논문 대비 이론논문의 비중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를 통해 이론연구 분야의 잠재된 연구 과제의 발굴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학술지 연구의 경우 질적분석방식을 통한 동향분석연구가 높은 건수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양적분석방식을 통한 동향분석연구의 필요성을 방증하는 결과로 해석 할 수 있다. 학위 및 학술지연구 모두에서 전통적인 요소의 재해석과 같은 주제의 연구 빈도수가 눈에 띄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적이고 독특한 디자인을 발굴하고자 하는 학계의 의지가 높음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분야와 현대장신구의 융·복합을 통한 연구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우리나라 현대장신구 분야 연구의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발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 현대장신구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현대장신구 분야연구의 양적이며 질적인 발전 모두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s Korea is well known for its contemporary jewelry with its sophisticated and outstanding skills, the importance of academic research has become much gre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academic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jewelry in Korea and to organize them by research type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jewelry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origin and the filed of contemporary jewelry are summarized, the definition of modern jewelry is examin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utilized for this research based on reviews on relevant literatures and document. In addition, the target and scope of this research were limited to the field of contemporary jewelry which has been studied in Korea since 2000 to grasp the recent research trends. Accordingly, thesi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reviewed, and each research was classified into 30 item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subject.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sis, the proportion of theoretical papers which have been published was found to be small compared to that of work papers. It shows that the possibility of finding potential research projects in the field of theoretical research is high. In the case of journal research, the number of trend analysis research using qualitative analysis method was high,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evidence proving the necessity of trend analysis research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In both thesis and journal studies, the number of research on subjects such as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was considerably high. This shows that the academic community's willingness to discover Korea’s own unique design is high. It is also expected that experimental and innovative developments in the research of contemporary jewelry in Korea will continue in the future as research through the convergence and combination of various fields and contemporary jewelry has been published consistently.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Korean contemporary jewelry, and contribute to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research in this fi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