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海行記』를 통해서 본 1734년 문위행 (The Munwihaeng in 1734 as Seen through the Diplomatic Record Haehaenggi)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12
38P 미리보기
『海行記』를 통해서 본 1734년 문위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58호 / 293 ~ 330페이지
    · 저자명 : 유채연

    초록

    본고에서 역관 김홍조가 작성한 『해행기』를 통해 1734년 문위행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행기』는 조선후기 문위행과 관련하여 유일하게 알려진 사행록으로, 17세기 후반부터 중인계층의 문학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 시기 사행문학의 저자가 다양해지는 가운데 나온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해행기』에서 김홍조는 자신이 맡은 소임 안에서 사행 경험을 충실하게 그려냈다. 그러나 실무자 사이에서 오고갔을 현안 협의와 같은 내용에 접근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행기』를 통해 문위관의 다양한 활동 등 사행의 실제적인 모습을 복원하면서 이들의 일본 인식에 접근할 수 있다.
    1734년 문위행도 대마도주의 승습을 축하하고, 江戶에서 還島한 일을 위문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동시에 도주 교체에 따른 圖書와 兒名圖書를 환수하는 일도 임무였다. 김홍조는 1732년에는 숙부 김현문을 보좌하여 초량에 있는 동안 왜관의 업무 경험을 익히고 대조선 외교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을 만날 기회가 많았다. 이러한 경험으로 김홍조는 김현문을 배종하여 사행에 참여하게 되었다.
    1734년 문위행은 대마도에 도착한 이후 신・구 도주의 교체와 還島 문위에 따른 공식적 의례 행사에 참석하였다. 이러한 의례절차는 조선조정이 대마도주를 위무하고 축하하는 뜻을 전달하는 상징적인 과정이었으며, 공식적으로 새로운 대마도주를 對조선외교 전담자로 인정하는 방식이었다.
    한편 문위행이 신도주의 아명도서를 환수하는 과정에서 대마도는 지속적으로 아명도서 반납을 되도록 늦추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문위관 김현문과 박춘서는 담당 봉행을 설득하여 마침내 도주의 허락을 받아 아명도서를 포함하여 3개의 도서를 받아오는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도서 환수과정은 동래부에서 이미 협의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실제 대마도에서 진행되는 상황은 다르게 전개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문위행이 대마도의 외교업무 관계자를 비롯하여 결정권자와 직・간접적으로 대면하면서 교섭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통로가 되었음을 잘 보여준다.
    『해행기』에서 김홍조는 사행단이 머물고 있는 관소를 오고가는 사람들에 대해 기록하였다. 대부분 단발적인 재회에 불과했으나,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 일가와 자주 접촉하였다. 여기에는 조선 역관이 조일 양국의 의사소통에 영향력이 있는 존재라는 인식이 작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김홍조는 의술을 조금 익히고 있어 대마도에서 요청을 받고 진료방문을 나갔다. 이러한 응대는 사행의 원만한 업무수행과 더불어 대마도내의 주요 인물들과 친분관계를 맺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Munwihaeng's activities which were recorded by Kim Hong-jo in Haehaenggi. The Haehaenggi was the only record of the diplomatic trip that described Munwihaeng activi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the writing activity of jungin men increased after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records of diplomatic visits abroad also increased and showed various points of view. In Haehaenggi, the author, Kim Hong-jo, dutifully recorded all of the diplomatic activities while conducting his own duties. Unfortunately, the information about each diplomatic activity in detail was limited. However, the Munwigwan's concept regarding Japanese could be reconstructed with the detailed diplomatic activities described in Haehaenggi.
    The Munwihaeng sent in 1734 was undertaken in order to congratulate the new governor of Tsushima upon his appointment and to comfort him upon his return to Tsushima from Edo. At the same time, the diplomatic trip was necessary in order to return the doseo seal (圖書) and the Amyeong doseo seal (兒名圖書)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Tsushima governor. Kim Hong-jo had rich experience working in the Waegwan in Choryang (草梁) and in encountering Japanese diplomats working in Choson while he supported Kim Hyun-mun, his uncle, in 1732. Based on these experiences, Kim Hong-jo was accompanying Kim Hyun-mun for this diplomatic trip.
    In the 1734 Munwihaeng, the participants attended the official ceremony for the replacement of the Tsushima governor. This was a diplomatic activity for comforting and for congratulating the governor upon his inauguration as well as admitting the Tsushima governor as an official representative for diplomatic activity with the Joseon dynasty.
    The Tsushima officials were continuously intended to work for the redemption of the Munwikwan's Amyoung doseo seal. Finally, the Munwikwan officials Kim Hyun-mun and Park Chun-seo successfully redeemed three Doseo seals, including the Amyoung Doseo seal, by persuading the responsible Bonghaeng (奉行). Even though these procedures were previously agreed upon in Dongrae, the actual procedures could differ from the agreement. Therefore, the Munwihaeng was the diplomatic officer for reaching an agreement with the Japanese diplomatic officer and diplomatic arbiter in Tsushima through diplomatic meetings in direct and indirect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