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후반 박정희 신드롬의 전개와 그 의미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the Park Chung-hee Syndrome in the Late 1990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09
44P 미리보기
1990년대 후반 박정희 신드롬의 전개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96호 / 279 ~ 322페이지
    · 저자명 : 장원석

    초록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해 최초의 문민정부라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던 김영삼 정부의 권위가 실추되자 이미 사망한 지 20여 년이 지난 군부독재의 상징 박정희가 신드롬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농담처럼 시작된 신드롬은 주요 일간지를 비롯해 이인화의 『인간의 길』을 통해 실체화되는 듯 보인다. 이인화의 소설과 조갑제의 전기는 박정희를 유능한 경제 지도자가 아니라 한 명의 영웅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박정희 신드롬을 박정희 미화 논리에 적극 활용하는 한편 그 상업적 성격을 강화했다. 여기에는 당연히 민주화운동 주체들을 비롯해 많은 비판이 제기되었지만 이 비판의 논리마저 박정희 옹호 논리로 포섭되는 측면이 있었다. 강준만은 혼란스러운 논쟁 과정에서 문제는 박정희에 앞서 그를 무조건적으로 미화하는 이인화에게 있다고 주장하면서 논쟁을 새롭게 틀 지었다. 그리고 진중권이 뒤늦게 논쟁에 참여해 강준만의 글쓰기 방식을 어떤 면에서 심화시켰다고 할 수 있는 글쓰기 방식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두 논자의 개입 속에서 박정희 신드롬은 박정희라는 인물의 권위나 한국의 근대성 문제와 같은 추상적이고 거시적인 문제 대신 지역주의, 특정 언론의 지배 권력, 군사 문화와 같은 미시적이고 1990년대 동시대의 문제들로 이행하는 듯 보인다. 그런 점에서 박정희 신드롬은 단순히 복고적인 현상이 아니라 새로운 주체들의 문제의식 속에서 다른 가능성을 내포한 1990년대적인 현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When the 1997 currency crisis undermined the authority of the Kim Young-sam government, which was symbolized as the first civilized government, a syndrome emerged in which Park Chung-hee, the symbol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who had already been dead for more than 20 years, was being syndicated. What began as a joke seems to have materialized through major daily newspapers and Lee In-hwa's novel 『The Way of Man』. Lee In-hwa's novel and Cho Gap-je's biography reconstruct Park as a hero rather than a competent economic leader, actively utilizing the Park syndrome in the logic of Park's glorification and eventually reinforcing their commercial influence. Naturally, this drew many criticisms, including from members of the pro-democracy movement, but even the logic of these criticisms was subsumed by the logic of Park's defense. Amidst the confusing debate, Kang Joon-man reframed the debate, arguing that the problem at hand was not Park Chung-hee himself, but, if anything, Lee In-hwa's unconditional glorification of Park. Then, Jin Joong-kwon joined the debate late and showed a writing style that could be said to have deepened Kang Joon-man's writing style in some ways. Through these two interventions, Park Chung-hee Syndrome seems to shift from abstract, macro-level issues such as the authority of Park Chung-hee or the question of Korean modernity to micro-level, contemporary issues of the 1990s, such as regionalism, the dominance of certain media, and military culture. In that sense, the Park Chung-hee syndrome is not simply a retro phenomenon, but a 1990s phenomenon with different possibilities in the minds of new ag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