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1960년대 국민개창운동의 전개와 논리 (The Development and Logic of the All-Citizen Singing Campaign in the 1950s and the 1960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5.02
44P 미리보기
1950~1960년대 국민개창운동의 전개와 논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96호 / 137 ~ 180페이지
    · 저자명 : 황수임, 이순욱

    초록

    이 글은 노래의 정치적 활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1950~1960년대 국민개창운동이 문화적 불평등 구조 속에서 사회적 교감의 장으로 기능 하려 했던 점에 주목하고, 주관 단체의 변화에 따른 운동의 전개 방식, 노래의 형식과 내용, 그리고 대중 미디어 동원의 과정을 분석하여 관제 문화 통제의 실상을 규명하였다. 일반적으로 예술운동은 정치적 억압이나 철학적 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국민개창운동은 이러한 관점에서 한참 벗어나 있다. 계몽과 교화의 차원에서 국민 의식 고취와 생활 개선 에 중점을 둔 관제 문화 운동으로 출발했기 때문이다. 식민지시대에 학습 된 의식화 이론과 조직화 방식은 국민 정체성을 형성하는 규율 수단으로 작용했으며, 정치적 역학 속에서 거듭 변주되었다. 표면적으로는 자율적 참여를 강조했지만, 실질적으로는 계산된 통제 장치였다. 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발간된 국민개창운동추진회 악보집 1~3(1954~1958), 『새 나라 노래집』(1961), 공보부의 공문 「다함께노래부르기(국민개창운동) 실시에 관한 건」(196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노래들은 국책의 지향성을 온전히 구현 하고 있었다. 재건정신의 고취를 강조하던 초기의 노래는 점차 사회적 유 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친숙한 주제로 변화하였고, 까다로운 악상 기호가 강조된 노래는 점차 따라부르기 쉬운 형식으로 다듬어졌다. 또한, 정치와 의 다층적 상호작용 속에서 각 관계 부처, 언론, 미디어는 국민 의식화 전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이러한 개입은 국민 의식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akes a critical approach to the use of the All-Citizen Singing Campaign for political purposes. It delves into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post-war sing-along movement, which purportedly served as a conduit for social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ext of cultural inequality. The article thoroughly examines the shifts in the organizers of the All-Citizen Singing Campaign, and the mobilization of related institutions and mass media to uncover the reality of state-initiated culture. While artistic movements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political oppression or philosophical ideas, the Sing-along Movement is a far cry from that. This is because it began as a movement of state-organized culture that focused on reforming the consciousness and the living patterns of the people as a means of enlightenment and social edification. The mimetic practice of theories and methods, which has been lear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1910-1945), was transformed within political dynamics to serve as a disciplinary tool for reestablishing the national identity.
    The movement aspired to autonomous participation but functioned as a calculated device of domination. The format of the songs changed, as shown in the sheet music collection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the nationwide movement (Publications 1~3 by the Promotion Committee for the Sing-along Movement, 1954~1958), Songs for the New Nation (1961), and the Ministry of Public Affairs’ official document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ing-along Movement (1967). These documents clearly show the changes in the process of the movement. The early songs, which featured difficult symbols of musical motif, were gradually transformed into an easy-to-follow format. This represented a faint but meaningful change in the nation-building process, which had been boosted by the active encouragement of the related ministries and the media that were engaged in multi-layered interactions with poli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