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시기 고전주의 운동과 전통담론 - 1920년대 국민문학과 1930년대 『문장』파 상고주의의 전통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Classical Movement’ in 1920’s and 1930’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11
22P 미리보기
식민지시기 고전주의 운동과 전통담론 - 1920년대 국민문학과 1930년대 『문장』파 상고주의의 전통담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0권 / 7호 / 701 ~ 722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이 글은 20년대 국민문학론자들이 정전화 과정에서 선택하고 배제한 ‘고전(canon)’ 혹은 ‘조선적인 것’이 무엇이며, 이를 통해 구체화하고자 했던 ‘조선심’이란 무엇인가를 밝히는 한편, 이후 30년대 말의 『문장』파 문인들의 상고주의가 선택한 전통 혹은 고전을 국민문학론자들의 그것과 비교․대조함으로써 그 차이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를 분석하였다.
    1920년대와 30년대 말의 고전부흥운동은 ‘문화적 민족주의’라는 공통된 성격을 지니고 있었지만, 전자가 제국주의에 의한 식민현실을 인식한 민족적 자기인식의 근대적 실천이었다면, 후자는 근대 사회의 메커니즘이 종식된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한 탈근대 혹은 반근대적 실천이었다. 이처럼 표면상으로는 20년대의 국민문학론과 30년대 말의 전통주의가 국학연구와 문학사의 고전을 발굴하고 정전화하는 유사한 실천전략을 구사하고 있었지만, 그 이면에서 작동하는 이념적․세계관적 입장은 대조적이었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전통담론 내에서 정전(canon)의 선택과 배제를 통해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려 했다는 점에서 두 시기의 인식론적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고전부흥운동을 통해 발굴된 정전은 원래부터 불변의 것으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일정한 윤리적․미적 가치를 기준으로 선택․배제 된 이데올로기적 산물이다. 근대국민국가에서 정전의 상당부분은 ‘국민’의 개념, 특히 국민 통합의 정점에 위치하는 국가 중심의 최고 권위를 기반으로 하는 정치적 내셔널리즘을 통해 형성되었다. 이처럼 정전화가 내셔널리즘과 결합하여 민족 공동체의 통합과 지배의 기제가 되는가 하면, 이에 저항하는 새로운 정전을 구축함으로써 전통적으로 배제되어 왔던 특정 그룹 또는 공동체가 그들 자신의 인종적․민족적․젠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 식민지 상황에서 전통과 고전이 담론의 중요한 대상으로 부각되었다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고전부흥운동은 제국주의(20년대) 혹은 군국주의(30년대 말)의 외피를 쓴 타자의 위협적 체험으로부터 자기상실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한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형성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eals what is ‘canon’ or ‘Chosun shim’ that the national literary theologians chose and excluded in the process of dialect in the 1920s, and what ‘Chosun shim’ they wanted to embody through thi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y comparing the meaning of tradition or classics chosen by classicists of the “sentences” of the 1930s with those of the 1920s.
    The classical revival movement in the late 1920s and 1930s had a common characteristic of ‘cultural nationalism’, but if the former was a modern practice of national self-awareness that recognized colonial reality by imperialism, the latter was a crisis of ending the mechanism of modern society It was postmodern or anti-modern practice starting from consciousness.
    On the surface, while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of the 1920s and the traditionalism of the 1930s chose similar methods of practice, their respective ideological attitudes were contrary. However, there is a common point that they trie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through traditionalism.
    The modern nation-state is based on the political nationalism which regards nationalism as the best value. Thus canon, combined with nationalism, became the basis of the integration and domina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The classical revival movement reflected the willingness of colonial intellectuals to defend themselves against external threats of imperialism(1920’s) or militarism(193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