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숙기 소비 사회의 도래와 라이프스타일 개념의 도입 :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 한국의 디자인, 광고, 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Introducing Lifestyle in the Consumer Society in South Korea: Cases of Design, Advertisement, and Film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2
19P 미리보기
성숙기 소비 사회의 도래와 라이프스타일 개념의 도입 :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 한국의 디자인, 광고, 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5권 / 1호 / 347 ~ 365페이지
    · 저자명 : 박해천

    초록

    연구배경 1980년대 후반, 한국 사회는 대량 생산-대량 소비 체제로의 진입과 함께 점차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성숙기 소비 사회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라이프스타일 개념은 이러한 소비문화의 재편 과정에서 등장했다. 디자인을 비롯한 문화적 생산 영역의 주체들은 이 개념을 매개항으로 삼아서, 당시 급격히 팽창하던 일상의 문화적 차원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디자인, 광고, 영화 등 세 가지 영역의 사례들에 주목해 개별 사례들이 라이프스타일의 개념을 전유하면서 문화적 생산 방식의 변화를 유도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순차적으로 등장한 금성사의 LSR연구실, 대우전자의 TV광고 <신대우 가족>, 신씨네의 영화 <결혼 이야기>가 사례 연구의 대상이다.
    연구결과 금성사의 LSR연구실에서 라이프스타일은 제품 개발을 위한 시장 조사의 분석 대상으로, 가치관, 생활 양식, 행동 양식 등의 변수를 통해 유형화될 수 있는 삶의 패턴을 의미했다. 광고 <신대우 가족>에서 라이프스타일은 ‘물질적 풍요’와 ‘화목한 가정’의 이미지를 통해 중산층의 표준적 정체성을 담아내는 일상의 문화적 형식이었다. 양자의 사례에서 라이프스타일은 일종의 윤활유로서 상품 소비의 흐름을 매끄럽게 확대 재생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한편, 영화 <결혼 이야기>에서 그것은 젊은 세대가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자신의 개성, 취향, 감수성을 드러내는 경험의 표현 방식을 뜻했다. 위 세 가지 사례들은 라이프스타일 개념이 일상의 문화적 차원을 분석, 전시, 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유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결론 위에서 살펴본 세 가지 사례에서 다음과 같은 문화적 생산 방식의 변화가 가시화되었다. 디자이너를 비롯한 소비 사회의 문화적 생산 주체들이 맡은 역할이 “라이프스타일의 전문가”, “생활 장면의 프로듀서” 등으로 재정의되었고, 중산층의 대표적인 주거 유형인 아파트의 실내 공간을 모형화한 공간들이 라이프스타일의 분석, 전시, 연출을 위해 등장했으며, 라이프스타일의 소비자로서 베이비붐 세대 중산층에 대한 관심 또한 증대했다.

    영어초록

    Background In the late 1980s, with the entry of mass production-mass consumption system, South Korean society gradually began to take on the aspect of a mature consumer society. The concept of lifestyle emerged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onsumption culture. Subjects in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including design, tried various approaches to the dimension of everyday life, which was rapidly expanding at the time, using this concept as a medium.
    Metho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cases such as design, advertisement, and film appropriated the concept of lifestyle and induced changes in cultural production methods. Case studies include the LSR Lab of Goldstar, Daewoo Electronics' TV commercial ‘Shin Daewoo Family’, and ShinCine's movie ‘Marriage Story’, which appeared sequentially from the late 1980s to the early 1990s.
    Results In Goldstar's LSR Lab, lifestyle was an object of market research for product development, meaning a pattern of life that can be categorized from variables such as sets of values, ways of life, and modes of behavior. in the TV commercial ‘Shin Daewoo Family’, it was a cultural form of everyday life that contained the standard identity of the middle class through the images of 'material abundance' and 'harmonious family'. Both cases were a kind of lubricant that smoothly expanded and reproduced the flow of commodity consumption. Meanwhile, in the movie ‘Marriage Story’, it meant the way of expressing experiences in which the younger generation constructs their identity and reveals their individuality, taste, and sensibility. The above three cases show the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lifestyle is appropriated as a means to analyze, display, and express the cultural dimension of everyday life.
    Conclusions In the above three cases, the following changes occurred in cultural production method. The roles of subjects in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in consumer society, including designers, were redefined as 'experts of lifestyle'. Spaces that modeled the interior space of an apartment, a typical residential type of the middle class, appeared for analysis, exhibition, and expression of lifestyle. Interest in the baby boom generation middle class as consumers of lifestyle increa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