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80년대 (위)합작 무협영화 다시 읽기 (Re-reading a 1970s-80s (Pseudo)Collaborative Martial Arts Film in Korean Film Histor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7
37P 미리보기
1970-80년대 (위)합작 무협영화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5권 / 2호 / 69 ~ 105페이지
    · 저자명 : 서대정

    초록

    한국-홍콩 합작영화는 영화와 관객을 훈육의 대상으로 바라본 정치적 시선을비껴갈 수 있었던 영화장(cinematic field) 바깥에 존재하는 거의 유일한 영역이었다. 이 무국적, 무장소성의 특징을 보여주는 이런 영화들 속에서 고려시대를배경으로 중국과 왜의 대표 무사가 각축을 벌인다. 이때 최후의 결전 무대는 부산 태종대가 되기도 한다. 그런가하면 일제의 압제에 맞서 한국과 중국의 무술인들이 협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기운을 이어 중국인을 주인공으로 삼아 가라테와 태권도가 경합을 벌이는 1970년대 풍경도 상상할 수 있다. 그런가하면 홍콩의 유명한 배우들이 버젓이 한국말을 하면서 누가 봐도 알 수 있는 이 땅의 풍경아래 중국의 무협 정신을 논하고 사부의 복수를 꿈꾸기도 한다. 시간과 공간의자유로운 패스티쉬(pastiche)가 이룩한 이 기묘한 영화들은 1970년대 문화지형도의 서브컬쳐(sub-culture)를 형성하면서 우리의 유전자(meme) 속에 알알이각인되었을 것이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1970년대 한국 영화사의 명맥을 유지할수 있게 만든 버팀목이 하길종, 유현목, 김기영과 같은 작가주의 감독들이 아니라는 위험한 가정을 상상해보자. 또 다른 의미에서 침체기였던 1980년대, 아사 직전의 영화계를 구원한 것이 코리안 뉴웨이브가 아닌, ‘부인’ 시리즈를 전면에둔 시네-에로티시즘과 비디오 영화라는 과격한 주장이 가능하다면 위의 가설 도분명 재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다분히 제작자 위주의 영화사 서술이 아니라 관객 중심의 시각을 반영한다. 무술 장르 위주로 제작된 합작영화들은 질식할 것 같았던 한국영화의 숨구멍이었고, 나아가 파시즘의 그물망을 비껴나는 술래잡기이자 일탈이었으며, 매우 제한적이고 열악한 조건 하에서제작자와 관객이 공모한 일종의 게임이었다. 오늘날 한국영화가 이룬 성취는 누추하고 어두운 뒷골목 재개봉관에서 오랜 기간 벌어진 이 게임에게 많은 빚을지고 있다. 나아가 이 게임의 수동적 구성물로서의 관객이 아닌, 게임의 주체로서 관객을 자리매김하는 것은 역사의 정당한 복원일 뿐 아니라 미래의 영화 지형을 탐구하는데 있어서도 온당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Korean-Hong Kong’ Cooperative film production was almost the only area outside the Cinematic Field that could deflect the political gaze of films and audiences as objects of discipline. In these films,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tatelessness and non-placeness, representative warriors of China and Japan compet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Goryeo Dynasty.
    At this time, the final stage of the showdown is also Taejongdae in Busan.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for Korean and Chinese martial artists to cooperate against Japanese oppression. In that circumstance, you can also imagine the scenery of the 1970s when karate and taekwondo compete with Chinese as the main characterswe On the other hand, famous actors in Hong Kong speak Korean openly and discuss the spirit of Chinese martial arts under the landscape of this land and dream of revenge for the master. These strange films, made by the free pastiche of time and space, may have been imprinted on our genes as they formed sub-cultures of cultural topography in the 1970s.
    Let’s imagine a dangerous assumption at this point that the mainstay of Korean film history in the 1970s is not the writers such as Ha Gil-jong, Yoo Hyun-mok, and Kim Ki-young. In another sense, if it is possible to make a radical claim that it is Cine-Eroticism and video films with the “Madame” series at the forefront, rather than the Korean New Wave that saved the film industry just before starvation in the 1980s, the above hypothesis will definitely need to be reconsidered. This perspective reflects an audience-oriented perspective, not a producer-oriented narrative of a film company. The cooperation films, mainly produced in the martial arts genre, were the breath of Korean films that seemed to choke, furthermore, it was hide and seek or and deviation that deflected the fascist net, and a kind of game in which producers and audiences conspired under very limited and poor conditions.
    The achievements of Korean films today owe a lot to the game, which has been played for a long time at the reopening theater of a shabby and dark back street. Furthermore, positioning the audience as the subject of the game, not as a passive component of this game, will not only be a legitimate restoration of history, but also a reasonable starting point in exploring the future film landsc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