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34년 명 사신 영접과 <황강연조도> (Hwanggang Yeonjo‑do and Diplomatic Ritual of Ming Envoys in 1634)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09
33P 미리보기
1634년 명 사신 영접과 &lt;황강연조도&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6권 / 3호 / 252 ~ 284페이지
    · 저자명 : 정은주

    초록

    이 글에서 연구 대상으로 한 <황강연조도>는 규장각 소장 <의순관영조도> 이래 명사 영접을 기록한 희귀본이다. <황강연조도>는 명나라에서 1634년(인조 12) 사례감 태감 노유녕(1590‑미상)을 칙사로 임명하여 소현세자의 책봉 고명과 면복 및 채단을 보냈던 배경에서 제작된 작품이다. <황강연조도>는 황주에서 명사 일행을 영접하였던 원접사와 종사관을 비롯해 관반으로 동원된 황해관찰사 오숙 이하 황해도 지역 지방관 명단이 좌목에 상세히 적혀 있어 그림의 제작 배경을 추정하는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다.
    <황강연조도>가 그려진 1634년을 전후한 시대적 배경은 명과 후금이 주도권 다툼을 하던 명청교체기로, 조선과 중국 간에 긴박한 대외 관계가 전개되던 때이다. 1634년 조선에 파견된 명나라 태감 노유녕은 조선의 영접 의주에 개입하는 것은 물론 인정물품을 무리하게 요구하여 정묘호란 이후 황폐한 조선의 경제 상황에 큰 부담을 주었다.
    이 글에서는 도경유의 문집 『낙음집』을 통해 성주도씨 종중에서 소장해온 <황강연조도>의 제작 경위를 파악하여 현존 작품에 대한 양식적 선후관계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현재 성주도씨 종중이 소유한 <황강연조도> 필사본 2점은 당시 관반으로 참여한 봉산군수 도경유가 소장한 작품과 관련이 있다. 그중 계회축 형식 1점과 『낙음집』 내에 삽입된 <황강연조도> 목판은 성주도씨 종중에 의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되었고, 그림 부분만 있는 1점이 도경유를 제향하는 대구 병암서원에 소장되었다. 양식적으로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계회도 형식을 갖춘 작품이 병암서원 소장 그림보다 17세기 화풍을 비교적 잘 반영하여 원본에 더 가까운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1906년 목판으로 판각한 <황강연조도>가 제작되어 『낙음집』의 삽도로 인출되었다. 한편 광주에서 구장되었던 작품은 19세기 민화풍을 반영하여 모사되었으나, 당시 황주에서 관반으로 참여하였던 인물들의 좌목을 온전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작품으로 주목하였다.
    대부분의 가전 기록화가 그렇듯 현존하는 <황강연조도>는 도경유가 소유했던 원본을 지속적으로 후대에 전승하고 보전하기 위해 두 차례 이상 모사하였으며, 도본을 『낙음집』에 함께 남기기 위해 1906년에 목판본으로 제작하였다는 점에서 성주도씨 종중의 조상 숭모의 의지를 잘 반영하고 있다. 또한 1634년 그려진 <황강연조도>의 원본을 유추할 수 있는 자세한 정보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료임에 틀림없다.
    이들 작품은 가문의 기록을 넘어 명청교체기 해로를 통해 조선에 온 명사를 황주에서 영접하는 장면과 명사 및 원접사 일행의 행렬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하여 규장각 소장 <의순관영조도> 이래 조선과 명의 대외관계 일면을 보여주는 희귀한 기록화라는 점에서 회화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diplomatic ritual of Ming envoys of the Ming‑Qing transition as a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ainting details of Hwanggang Yeonjo‑do.
    Hwanggang Yeonjo‑do is a documentary painting of diplomatic ritual of Ming envoy Lu Wei‑ning, who came with the document of the last Ming Empero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Sohyeon in Hwangju 1634.
    Hwanggang Yeonjo‑do, painted by professional painters, distributed 24 people; including Bongsan county governor Do Gyeong‑yu as reception committee of Ming envoy in Hwangju. The composition of picture is three part, the title of the top, painting of the middle and participant list of the bottom. There are four existing works, three paintings and one woodcut. Three works of Do Gyeong‑yu’s family are not original painted in 1634. One is a painting with only 23 participants except Jaenyeong county governor Choe Taek‑seon, another is just a painting without the title and name list, and the other is a woodcut inserted in Nageum‑gip as a collection of Do Gyeong‑yu’s works in 1906. Two paintings among them were copied by a painting style of the 17th Century.
    Another one was unveiled on a journal by a collector in Gwangju in 1974. The 24 participants of the reception committee listed at the bottom of this work, but the painting style was a folk pain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works of Do Gyeong‑yu’ family were painted more than twice for the cult of ancestor worship. Above all, they have a distinct historical value as rare documentary paintings of the Sino‑Korean diplomatic relations among the Ming‑Qing tran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