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미주 한인시와 소수자 의식 (Minority Consciousness of Korean-American Poetry in the 197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09
25P 미리보기
1970년대 미주 한인시와 소수자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70호 / 347 ~ 371페이지
    · 저자명 : 이형권

    초록

    이 논문은 1975년 미국의 한인 시인들이 발간한 『재미시인선집』의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 시집의 발간은 1970년대 미주 한인 시문학사에서 매우 유의미한 문학적 사건이다. 이 시집이 출간된 1975년은 아직 미주 한인시단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이전이었다. 이 시집은 이런 상황에서 발간되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 의미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미주 한인시가 미국에서 소수집단의 문학으로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주한인시는 20세기 초반 개화기 때부터 형성되기 시작되었지만, 1960년대까지만 해도 동인을 결성하여 공동으로 시집을 발간한 사례는 찾아볼 수 없다. 이 선집의 발간은 미주 한인 시단이 1970년대 들어서 형성기를 지나 정착기로 접어들었다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미주 한인시단이 전문가 중심으로 정착하는 단초를 마련해 주었다. 이 시집에는 김시면, 고원, 김송희 등 11명의 시인이 작품을 싣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국내에서 신춘문예나 문예지를 통해서 정식으로 등단을 하고 미국으로 이민을 간 시인들이다.
    이 시집의 발간은 미주 한인시가 국내 시단과 연대 관계를 맺으면서 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계기가 된다.
    셋째, 국내 시단과 유사한 작품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시집의 시들은 1970년대 국내 시단의 일반적인 시 경향과 유사한 양상을 보여준다. 즉 실험적이고 지성적인 모더니즘 차원의 시편들과 현실참여적인 리얼리즘 시편들, 그리고 순수 서정에 기대어 인간의 내면세계를 다룬 리리시즘의 시편들이 고루 포함되어 있다. 시의 형식도 단시형에서 장시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넷째, 미주 이민자로서의 소수자 의식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미국에 대한 선망 의식, 미국 콤플렉스와 유랑 의식, 고독과 귀향의 의지, 불안과 죽음의식, 구원의 소망, 아메리칸 드림, 시적 자의식 등이다. 이 시집은 1970년대 미국 사회에서 마이너리티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한인들의 복잡한 내면세계를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Collection of Korean American Poets issued by Korean Americans in 1975 in vein of a literary history.
    Publishing this poetry collection is a significant literary event of the 1970’s Korean American poetry history. Year 1975 when this collection was published is the time when the Korean American poetry had not yet fully developed. Below are the important meanings of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Korean American Poetry.
    First, this event of publishing the Korean American poetry collection became a stepping stone for Korean American poems to be recognized as a minority literature in the American society. Although Korean American poetry started to be written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re was no case that a poetry collection was published by a collaborative group until 1960’s. This poetry collection means that Korean American poetry group entered into a settlement phase after the 1970’s formative period.
    Second, this event became a momentum that helped Korean American poetry group to be settled as a central role in Korean American literary world. This collection includes eleven poets including Simyeon Kim, Wan Go, Songhee Kim, and so on. Most of them already became professional poets through literary contests hosted by prominent literary journals before they went to the US. Thus, the publication of this poetry book became an opportunity to buil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iterary society and Korean American counterparts.
    Third, this publication shows similarities and varieties with Korean poetry groups at the same time. Poems included in this collection illustrate common literary tastes and similar aspects with 1970’s Korean poetry. Those poems include ones that are experimental, intellectually modernistic, realistically engaging, and lyrical, which deal with human inner worlds. In terms of poetic forms, there are various poems that are short poems, long poems, etc.
    Fourth, the poems of that collection reveal consciousness as a minority group who live in the States as an immigrant. The specific contents of those poems are envious feelings toward the States, nomadic consciousness of American complex psychology, loneliness and a sense of returning home, anxiety and death consciousness, a hope for redemption, American dream, poetic self-consciousness, etc. This collection fully embraces the complex inner world of 1970’s Korean Americans who were to live as a minority in the 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