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 모트와 1910년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John R. Mott and World Missionary Conference at Edinburgh 1910)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0.07
20P 미리보기
존 모트와 1910년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24권 / 24호 / 65 ~ 84페이지
    · 저자명 : 임희모

    초록

    오늘날의 기독교 역시 확장과 통합을 반복하고 있다. 19세기에 기독교 확장이 식민주의 바람을 타고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20세기 초에 이르러 통합의 바람이 일었다. 이 확장과 통합이 숨고르기를 이룬 정점이 1910년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The World Missionary Conference at Edinburgh 1910)였다. 이 대회는 기독교 복음화 선교운동과 교회일치 에큐메니칼 운동이 역사상 가장 중요하게 각인된 지점이었다. 이러한 두 운동을 한 점에 모이게 한 창조력을 드러낸 인물이 존 모트 (John R. Mott 1865-1955)였다. 그는 탁월한 기독교권 정치가(Statesman)로서 사도 바울 이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가장 널리 전파한 사람이며 에큐메니칼 시대에 가장 위대한 복음전도자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존 모트는 90세에 이르는 삶을 통하여 무수한 활동을 하였고 이에 따라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다. 1910년 에딘버러 대회 이후 그 후속사업 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함으로써 1921년 국제선교협의회 (IMC)를 조직하였고, 1948년 세계교회협의회 (WCC) 창립에 기여하였다. 존 모트는 선교에큐메니즘과 교회에큐메니즘을 주도적으로 만들었다. 1946년에는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트는 그의 삶의 중심을 어느 쪽에 두고 있었는가? 특히 우리는 선교학적 관점에서 그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오늘날 WCC 에큐메니칼 운동은 그 가까운 효시를 1910년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에 두고 있고, 2010년에 한국에서 그 100년의 역사를 짚어보고 회고하고 전망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WCC 운동은 두 축을 갖는데, 교회의 일치와 세상의 일치가 그것이다. 모트에게서 이 두 축이 긴장을 이루기보다는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모트는 복음화를 위한 교회의 연합사업으로서 학생운동, 청년운동, 선교사 및 선교회 운동을 추진하였다. 식민주의 시대와 그 문화에 젖은 시대의 아들로서 존 모트는 기독교 복음화를 위한 세계 정복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모트에게서 세상의 일치를 위한 교회연합사업 개념은 상대적으로 희미하게 나타난다. 모트에게는 선교일치와 교회일치가 상호교호적 작용을 하지 못하였다. 교회의 일치는 선교의 일치 곧 복음화를 위하여 중요성을 갖는 것이었다.
    본 글은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존 모트를 에큐메니칼 복음전도자 (Ecumenical Evangelist)로 이해하려고 한다. 본 글은 존 모트에게 드러난 에큐메니칼 중요성과 한계를 논하려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글은 존 모트의 생애를 코넬대학 시절, 무디의 영향과 자원학생운동, 학생과 청년 연합활동 시절을 간략하게 기술하고, 존 모트의 1910년 에딘버러 에큐메니칼 복음화 운동의 발단과 추진, 절정, 결과와 여파를 논의한다. 그리고 존 모트의 에큐메니칼 복음화의 유산과 한계를 검토하려 한다.
    본 글은 한계를 갖는다. 우선 존 모트에 관한 문헌을 제한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모트의 방대한 저작 전집이 미국 예일 대학의 아키브에 소장되어 있음에도 본 필자는 시간적 이유로 이러한 자료를 검토하지 못하고, 필자가 소장하고 있는 자료와 이외에 수집 가능한 자료를 중심으로 독서하고 분석하여 글을 쓰려는 것이다. 그리고 본 글은 모트가 1910년 에딘버러 선교대회를 시작하는 배경과 활동 및 결과를 다룬다. 선교대회 이후의 계속사업과 진전에 대해서는 필요시 간략하게 언급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article deals with the missiological legacies of John R. Mott who organized World Missionary Conference(WMC) at Edinburgh 1910 which is regarded as the root of the contemporary ecumenical movements, particularly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John Mott was renowned as the evangelist and ecumenical statesman. His missiological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will provide with some critical points of view to missionary activities of the Korean churches. The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the ecumenical and evangelistic activities of John Mott in the colonial eras, his leadership for the WMC 1910, and the missiological legacies of John Mott.
    First, the article analyzes some features of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in the U.S.A. which influenced to form personality of John Mott. Further the article discusses the evangelistic activities by Student Volunteer Movement, YMCA movement, and 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 which were led ecumenically by John Mott.
    Second, the article describes the activities of John Mott who organized and chaired the Edinburgh WMC 1910. The background, proceedings, promotion and aftermath of the WMC evangelization are discusse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8 Commissions of the WMC are introduced briefly. The ecumenical and evangelistic activities of the WMC are reflected critically.
    Third, the article evaluate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John Mott and the WMC. Mott was a son of the times, particularly the colonial and imperial eras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Mott had driven the evangelization movement to the non-Christian world in the form of the colonial conqueror. His energetic mission mind was formed with the optimistic spirit prevailing the times. Based on the above conditions, Mott promoted the ecumenical movements for Christian mission and evangelization. In conclusion the ecumenical evangelization of John Mott can be discussed in the mission strategy dimension for the Korean Churc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