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막스 빌과 얀 치홀트의 1946년 논쟁 (The 1946 Dispute Between Max Bill and Jan Tschichol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12
27P 미리보기
막스 빌과 얀 치홀트의 1946년 논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 수록지 정보 : 글짜씨 / 6권 / 2호 / 39 ~ 65페이지
    · 저자명 : 박경식

    초록

    막스 빌은 1946년 4월 ≫스위스 그래픽 소식지≪에 얀 치홀트가 1945년 12월 취리히, 스위스 그래픽디자이너 협회 회원 앞에서 한 연설을 맹렬히 비난하는 글을 실었다. 이 글, ≫타이포그래피에 관해≪는 후에스위스 타이포그래피의 토대를 마련한 일종의 선언문이 된다. 빌은 치홀트가 주창한 ‘기초적인타이포그래피’에서 더 ‘기능적’이고 ‘유기적’인 타이포그래피로 나아간다. 동시에 세리프체, 대칭적레이아웃, 디자인의 장식적 요소로 대변되는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전통주의적 접근을 근본적으로 비판했다. 같은 지면 6월호에 치홀트는 빌의 공격을 맞받아치며 전통주의적 타이포그래피로 회귀한 자신의 입장을 변호한다. ≫믿음과 현실≪에는 그가 타이포그래피 전반에 대한 입장을 바꾼 근거와 그것을 뒷받침하는 예시가 충분히 담겨 있다. 이 논쟁으로부터 약 70년이나지났기 때문에 현재의 디자인 지형 속에 이 사건을 위치시켜 그 핵심을 짚어 가는 것이 현명한 일일 것이다.
    두 디자이너가 말했듯 타이포그래피에서 중요한 것은 현재이며, 현재 시제로 말해야 한다. 이 원칙을 마음에 품고 현재의 관점으로 주제에 접근하려고 한다.

    영어초록

    In the April, 1946 issue of the »Schweizer Graphische Mitteilungen« Max Bill wrote an article that highly criticized Jan Tschichold for his speech he gave in front of the Swiss Graphic Designer members in Zurich on December 1945.
    This article, »On Typography« would later form the conceptual background of the Swiss Typography movement of the 1960s-70s. Bill further took the ‘elementary typography’ established byTschichold to a more ‘functional’ and ‘organic’ approach to typography. He also criticized the use of serif typefaces, symmetrical layout, decorative elements, in short a more traditional approach to typography.
    Almost immediately, Tschichold responded in kind.
    In the June issue of the same publication, »Belief and Reality« is Tschichold’s testimony on why he chose to alter his views on New Typography as well as typography in general, backed with extensive images and sample layouts. It is the intent of this paper to view this dispute, almost 70 years later, in a more contemporary light. As the two designer both agreed, typography is of the now, an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esent tense. This paper looks into this dispute from this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