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희망이라는 이름의 원리-기형도의 90년대- (The Principle of Hop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05
31P 미리보기
희망이라는 이름의 원리-기형도의 90년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26호 / 169 ~ 199페이지
    · 저자명 : 강동호

    초록

    이 글은 ‘기형도 신화’를 역사화하기 위해서는 기형도 신화를 구축한 1990년대라는 시간을 해체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씌어진 일종의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기형도 시의 새로운 이해 지평을 낳기 위해서는, 예상치 못한 죽음으로 인해 신비화되어 버린 기형도의 절망적 자기 인식을 역사적으로 해체하고 재해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잘 알려진 것처럼 기형도는 다수가 정치적 혁명의 열기에 전염되었던 1980년대 후반이라는 전환기 속에서 문학과 정치 사이의 매개를 적극적으로 모색한 시인은 아니었다. 오히려 기형도는 1990년대적인 정신을 선취했던 혁신가로 일컬어졌다. 그러나 ‘기형도의 신화’가 만들어질 수 있었던 계기와 조건을 1990년대적인 상황이 제공했던 것이 분명하다고 하더라도 기형도가 1980년대와 무관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는 문학을 통해 세계를 변혁하겠다는 사람들의 이념에 완벽히 동의할 수는 없었지만 문학이 세계로부터 고립될 수 있다고 믿지 않았다. 기형도는 1980년대의 변혁적 문학 운동을 향해 막연한 형태의 연대감을 표시하면서도 환상과 상상의 세계에 주력했던 ‘시운동’ 동인들에게 우려 섞인 지지를 보냈던 이중적 인물이다. 기형도는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는 과정에서도 그 자신의 삶이 1980년대라는 시대적 정황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확신했다. 기형도가 광주를 향하며 “나의 희망은 좀 더 넓은 땅을 갖고 싶다” 토로했을 때, 그가 말한 땅은 1980년대적인 역사적 지평과 긴밀한 관련이 있었다.
    기형도의 자기 인식이 역사에 대한 인식과 만나는 장면을 강조하기 위해 이 글은 기형도가 천착했던 ‘희망’이라는 단어에 주목하고, 그의 산문 도처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희망’이라는 개념의 원리를 분석했다. 기형도의 ‘희망’은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나 자신부터 변화에 열려 있어야 한다는 믿음과 깊은 관련이 있다. 기형도는 그 변화의 과정을 응시하고 탐구함으로써 세상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원리를 발견하는 일에 동참고자 했다. 자기 개조와 끝없는 자기 갱신을 통해 이어지는 삶의 원리를 일컬어 기형도는 희망이라고 부른다.

    영어초록

    The article was written under the question of the need to reconstruct the time of the 1990s in order to historicize the “Ki Hyung-do Myth.” In order to create a new understanding for Ki Hyung-do, the desperate self-awareness of Ki Hyung-do, which has been mystified by his unexpected death, must be historically dismantled and reinterpreted.
    As is well known, Ki Huyng-do was not a poet who actively sought the medium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in the turn of the late 1980s, when many were infected by the fever of political revolutions. Rather, he was referred to as an innovator who preempted the spirit of the 1990s. However, even if it is clear that the 1990s provided the fundamental conditions for creating “Ki Hyung-do Myth,” it cannot be said he had nothing to do with the 1980s. He could not completely agree with people's ideology of transforming the world through literature, but he did not believe that literature could be isolated from the political world.
    While expressing a vague form of solidarity toward the political literary movement of the 1980s, he was a double figure who gave concern and support simultaneously to the “poetry movement,” which focused on a fantasy and imaginary world. While focusing on his inner self, he was convinced that his own life could not be free from the times of the 80s. When Ki Hyung-do headed for Gwangju and said, “My hope is to have a wider land,” the land he spoke of wa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horizon of the 1980s.
    To emphasize Ki hyung-do’s perception of history, the article noted the word “hope” he said, and analyzed the principle of the concept of “hope” found in his prose. His “hope” is deeply related to self-reflection that in order to change the world, he must first be open to change himself. By exploring the process of the change, Ki Hyung-do wanted to join in discovering principles that could lead to changes in the world. He calls hope, referring to the principle of life that leads through self-rehabilitation and endless self-renew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