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원봉의 1945년 광복 이후 정치 행적과 성격 (Exploring Political Achiev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Kim Won-bong since Liberation in 1945)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11
44P 미리보기
김원봉의 1945년 광복 이후 정치 행적과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68호 / 265 ~ 308페이지
    · 저자명 : 김광운

    초록

    김원봉의 광복 이후 활동 특히 1948년 4월 이후 평양에서의 행적은 대체로 누군가의 전언을 근거로 복원했기 때문에 문헌 자료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당시 공간된 신문 등을 이용하여 그의 해방 후 행적을 조사하고, 그 성격과 의의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현대사에서 ‘민족 대 반민족’, ‘좌익 대 우익‘ 대립구도에서 중간파의 ‘독자적 정치세력화’ 가능성과 한계를 가름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원봉이 귀국한 시점은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인민전선’ 구축과 ‘국민전선’ 결성으로 정치세력들이 정면충돌하던 때였다. 그는 임시정부 대표로서 대중들의 전국 조직 결성에 참가하며 민족통일전선체 결성에 노력했지만, 임시정부가 추진한 비상정치회의주비회가 미군정 자문행정기구로 변질되자 민주주의민족전선에 참여하였다.
    김원봉은 민전 의장으로 3상회의 결정 지지, 좌우합작 및 미소공위 참여를 통해 임시정부 수립에 노력하였다. 그는 조선공산당의 견제와 방해를 받으면서도 독자의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하였고, 경찰에 의해 폭행과 구금, 테러 위협까지 커져가던 상황에서도 자기 역할에 충실하였다.
    김원봉은 미군정과 이승만세력 등을 비판하며 민전역량을 키우고자 했지만, 3당합동이 표류되면서 민전은 더 취약해졌다. 미소공위 협의를 통한 임시정부 수립 희망도 1947년을 지나며 실패하였다. 이제 할수 있는 일은 남북 민족역량을 결집시켜 통일·독립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었고, 결국 그는 서울을 떠났다.
    김원봉은 평양에서 자신을 “정치를 한다는 사람”으로 이해했고, 인민공화국 수립을 추진하였다. 그는 조선인민공화당 소속 20명과 함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뽑혔고, 초대 내각의 국가검열상 또는 인민공화당 위원장, 남조선민전 의장으로서 인민정권 강화와 ‘국토완정’을 위해 일했다.
    전쟁시기 김원봉은 농업 증산 등 후방사업에 헌신하였고, 1952년 노동상으로 자리를 옮긴 후에도 인민공화당 위원장과 조국전선 의장단 성원으로서 전시생산과 전후 복구사업 등에 앞장섰으며, ‘박헌영사건’ 이후 오히려 대외역할도 더 커졌다. 그런데 과거 임정 요인 중심의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가 평양에서 만들어지면서 김원봉의 활동은 눈에 띄게 줄어들기 시작하였다. 그는 노동상, 최고인민회의 부위원장 직무에 충실하며 관료로서 살다가, 1958년 조선로동당에 의해 “나쁜 놈”으로 낙인찍혀 쫓겨났다.
    김원봉은 해방 이후 활동과 행적은 ‘통일·독립’으로 집약할 수 있다. 그는 평양에서도 독자적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했다. 그러나 북조선체제에 복무하며 점차 정치활동가로부터 행정관료로 살다가 1950년대 후반 변화된 현실에서 더 이상 자신의 입지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영어초록

    What is known about Kim Won-bong’s political activities post-liberation, especially in Pyongyang after April 1948, is largely based on verbal records. Hence, supplementation of this literature is necessa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im Won-bong’s post-liberation achievements using periodicals from that time and highlight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his activities. Through thi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forming an “independent political force” of the neutral factions in the conflicting dichotomy between “nationalists and anti-nationalists” and “left wing versus right wing” activists i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Kim Won-bong’s return to Korea occurred amidst a head-on collision between the “People’s Front” and the “National Front” - two rising political forces that were vying to establish a unified government. As a representativ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Kim joined the fray and made efforts to form the body of the National United Front. However, he eventually joined the United Democratic National Front after the preparatory meeting of emergency political council propell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transformed into an advisory administrative bod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s the chairperson of the United Democratic National Front, Kim Won-bong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provisional government in Korea by supporting the decisions of the trilateral commission, engaged in left-right cooperation, and participated in the US-Soviet Joint Commission. He sought to maintain his own independent identity despite pressure from the Communist Party of Korea. He remained firm to his duty even in the face of heightened assault, detention, and threats by the police.
    Kim Won-bong was critical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Rhee Syngman forces and aimed to expand the capacity of the United Democratic National Front. However, its influence only waned as efforts to merge the three parties went adrift. Hop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provisional government through the consultation with the US-Soviet Joint Commission failed after 1947. The only choice Kim Won-bong had left was to rally the power of the people in both the North and South Korea and create a unified and independent nation. To this end, he eventually left Seoul.
    In Pyongyang, Kim Won-bong understood himself as be a “statesman” and pursued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He was 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along with 20 other members of the Korean People’s Republic Party. He was on the very first Cabinet of the DPRK and served as the minister of the National Censorship, Chairman of the People’s Republic Party and the United Democratic National Front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people’s government and achieve national unification.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Kim Won Bong devoted himself to enhancing agricultural production and other support initiatives. In 1952, even after his appointment as the minister of labor, he continued to spearhead wartime production and postwar reconstruction as the chairman of the People’s Republic Party and a member of the Democratic Front for National Reunification. His role in external affairs grew after the “Pak Hon-yong incident.” However, Kim’s activity began to decline markedly after Pyongyang. He lived as a bureaucrat, carrying out his duties as the minister of labor and the vice chairman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until 1958 when he was ousted from the Worker’s Party of Korea after being branded as “bad guy.” Kim Won-bong’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since the postliberation period can be summed up as “reunification and independence.” He sought to maintain his independent identity as a political activist even in Pyongyang despite his eventual transformation into a bureaucrat in the North Korean regime. However, he no longer was able to maintain his position amidst the new postwar reality in the late 195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