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1년 베를린위기와 북한체제의 공고화 (The 1961 Berlin Crisis and North Korean Regime Consolid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06
34P 미리보기
1961년 베를린위기와 북한체제의 공고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98권 / 229 ~ 262페이지
    · 저자명 : 도지인

    초록

    본 연구는 1961년 8월 13일 동독의 울브리히트(W. Ulbricht) 정권이 강행한 베를린 장벽의 설치에 대한 북한의 해석을 검토하여 북한의 국가-사회 관계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즉 베를린 장벽의 설치가 상징하는 공산정권이 직면한 정통성의 위기(민심장악의 실패)를 북한은 어떻게 피할 수 있었는지 살펴본다. 1956년 이후 흐르시초프의 스탈린격화운동 이후에도 동독과 다르게 북한에서는 국가-사회관계가 대립적인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물질문화와 생활수준의 향상의 실패는 동유럽 국가사회주의 체제의 도덕적, 정치적 환경에 변화를 가져오면서 결과적으로는 동유럽에서 정치적 정통성의 하락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탈스탈린화 이후 글로벌 경제와 문화교류에 참여하는 초국가적, 초체계적 연계망 속에 들어갔던 동유럽과 소련과 다르게 북한은 1950년대부터 독자적 노선을 주장했다. 북한의 외교적·경제적 고립과 후계정치의 맥락에서 주민들은 물질적 성취와 정치적 정당성에 대한 고유한 개념을 형성해 왔다. 집권세력은 정책적 성과가 아닌 민족주의적 가치를 바탕으로 국가-사회관계를 설정했다. 한국전쟁, 준전시동원체제, 남북체제경쟁과 같은 조건 하에서 자주적 평화통일과 자립적 민족경제와 같은 주장은 대중적 호소력을 갖고 국가적 목표를 우선시하고 그에 복종하는 인민으로서의 집단 정체성을 형성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state–society relationship by examining North Korea's interpretation of the erection of the Berlin Wall enforced by the W. Ulbricht regime in East Germany on August 13, 1961. In other words, we examine how North Korea was able to avoid the crisis of legitimacy (failure to control public sentiment) faced by the communist regime, symbolized by the erection of the Berlin Wall. Even after Khrushchev's Stalinist campaign after 1956, unlike East Germany, state–society relations did not show a confrontational aspect in North Korea. The failure to improve material culture and living standards led to changes in the mo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of the Eastern European state socialist system, resulting in a decline in political legitimacy in Eastern Europe. However, in the case of North Korea, unlike Eastern Europe and the Soviet Union, which entered a transnational network participating in global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after de-Stalinization, North Korea insisted on an independent path from the 1950s.In the context of North Korea's diplomatic and economic isolation, in addition to succession politics, residents have formed unique notions of material achievement and political legitimacy. The ruling party established state–society relations based on nationalistic values, not policy outcomes. Under conditions such as the Korean War, quasi-war mobilization, and inter-Korean system competition, claims such as independent peaceful unification and self-reliant national economy had mass appeal and formed a collective identity as an obedient people who prioritized national go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