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장과 빈곤: 국내 K-pop 연구 20년 동향 (The Growth and Poverty of K-pop ResearchA Comprehensive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from 2005 to 2024)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11
41P 미리보기
성장과 빈곤: 국내 K-pop 연구 20년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음악 / 34권 / 119 ~ 159페이지
    · 저자명 : 채석진, 이정엽

    초록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K-pop 관련 학술 논문 511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수집한 논문들을 11개의 주제 범주로 분류하고, 양적·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K-pop 연구는 201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2020년대에 들어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주요 연구 주제로는 '텍스트와 재현', '산업과 생산', '교류와 전파', '매개와 순환', '수용과 팬덤' 등이 두드러졌다. 특히 스토리텔링, 트랜스미디어,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국가 이미지, 커버댄스, 지구화와 혼종성 등 K-pop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연구 영역이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정치경제적 분석, 음반과 굿즈, 공연, 음원과 스트리밍, 규제와 개입, 혐한류와 안티 K-pop 등의 주제는 상대적으로 덜 연구되었다. 또한 K-pop 연구에 기반한 새로운 이론이나 분석틀의 개발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K-pop 연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K-pop 연구의 질적 도약을 위해 현실 반영성 강화, 학제적 연구 심화, 새로운 이론과 분석틀 개발, 비판적 분석 강화, 장기적 연구 수행, 글로벌 맥락에서의 이해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 trends in K-pop studies within South Korea from 2005 to 2024, analyzing 511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The research aims to understand how K-pop studies have develop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dentify major research themes and their evolution,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field. Using a mixed-method approach combining quantitative analysis of publication trend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study categorizes K-pop research into eleven thematic areas. The findings reveal a significant increase in K-pop research, particularly after 2020, reflecting the global rise of K-pop. The study identifies key research areas such as industry and production, text and representation, global dissemination, media and circulation, and fandom studies. While the research demonstrates th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K-pop studies, it also highlights several limitations. These include a lack of critical political-economic analyses, insufficient research on certain aspects of the K-pop industry (such as physical albums and merchandise), and a disconnection from broader popular music studies traditions. Moreover, the study notes a scarcity of new theoretical frameworks or analytical models specific to K-pop.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emphasizing the need for mor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development of K-pop-specific theories, and studies addressing current issues in the K-pop industry. This meta-analysis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academic landscape of K-pop studies and provides insights for its future development in line with K-pop's global cultural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음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