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의 시기별 가락 변화 비교 연구 -1970년대와 1980년대 산조의 진양조 가락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Research on Hamdongjungwonryu Gayaguemsanjo with Regard to its Periodic Melody Changes-Centering on Jinyangjo Melody from Sanjo of 1970s and 1980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12
21P 미리보기
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의 시기별 가락 변화 비교 연구 -1970년대와 1980년대 산조의 진양조 가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5호 / 181 ~ 201페이지
    · 저자명 : 최진

    초록

    산조는 연주자의 음악적 기량을 최대한 담아낸 기악 독주곡으로 현재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승․보존되고 있다. 김창조(金昌祖 1865~1919)에서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는 가야금 산조는 2세대, 3세대에 이르는 동안 스승의 음악을 그대로 유지하기도 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조, 장단, 선율의 다양한 변화를 겪어왔다.
    현존하는 산조 중 이러한 변화가 잘 나타나는 산조는 최옥삼류 산조이다. 본고에서는 최옥삼류 산조를 함동정월 선생이 자신만의 산조 성음과 철학을 가지고 10년동안 시대적, 문화적 흐름에 따라 음악적 변화를 보인 것을 가지고 연주한 시기별 자료를 비교하여 악조, 시김새, 연주법, 선율 등이 변화된 것을 연구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악조 사용의 경우 여섯바탕전집은 우조-평계면-돌장-평계면-봉황조-평계면-진계면-단계면-생삼청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계면조적 성향이 강한 듯하나 우조와 계면조를 섞어 씀으로 어느 한 가지 성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었다. 현대음반은 진우조-변우조-돌장-봉황조-평계면-진계면-별곡-진계면-생삼청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중 진우조, 변우조, 별곡은 현대음반에만 나타나는 악조였다. 즉 시대가 흐름에 따라 악조도 더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변화유형의 경우 선율이 다른 경우, 선율은 유사하나 시김새가 다른 경우가 있었으며, 시김새가 다른 경우에는 꾸밈음, 전성, 스타카토로 세분화하여 비교하였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가진 변화유형은 선율이 다른 경우로 음의 세분화 및 증가, 음악표현의 확장 등으로 표현되었다. 시김새 부분에서는 꾸밈음에 따른 변화의 빈도수가 많았으며, 주로 단일음정에서 집는 주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전성과 스타카토와 같은 강조하는 시김새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였을때 차이점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진 않지만 실제 연주적인 측면에서 연주하는 연주자에 따라 음악을 표현하는 예술미의 차이는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음악적 변화는 한 사람의 연주라 할지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것은 산조가 지니고 있는 생명력이자 성음을 터득했을 때 음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자득미(自得美)가 곧 새로운 산조를 만들 수 있는 예술적 창의성과 관련이 있음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오늘 날 산조의 학습방법은 악보를 보고 선생님의 산조와 똑같이 연주하여 전승의 의미를 더 강조하는 학습방법과 환경 때문에 연주가들이 산조를 창조하는 것은 매우 불가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산조는 한 사람이 연주를 하더라도 시기와 장소에 따라 음악적 표현과 느낌이 달라질 수 있는 산조의 예술적 유동성이 곧 산조음악의 특징일 것이고, 앞으로 새로운 산조 형성의 기틀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Sanjo is an instrumental solo that contains a player’s maximum musical capability, and it is designated, reserved and transmit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Gayaguem Sanjo,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Kim, Changjo(1865~1919) has preserved the teacher’s music in its archetype throughout its 2nd and 3rd generation as well as having undergone unique key, rhythmic, and melodical changes.
    Among the existing Sanjo, the best example which reflects this change is Choi, Oksamryu Sanjo. This article exa-mined the musical changes that Master Hamdong Jungwol generated with his own Sanjo sound and philosophy from Choi, Oksamryu Sanjo according to the periodic and cultural flow of the past decade. Then, it compared the materials from different eras to study the changes in tone, sigimsae, techniques, and melodi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in the case of tonal use, the six background collection is composed of Ujo-Pyeonggyemyeon-Doljang-Pyeonggyemyeon-Bonghwangjo-Pyeonggyemyeon-Jingyemyeon-Dangyemyeon-Sangsamchung with strong accent of Gyemyenjo, still achieving a nice harmony by combining Ujo and Gyemyeonjo. The modern record is composed of Jinujo-Byenujo-Doljang-Bonghwangjo-Pyeonggyemeyon-Byelogok-Jingyemyeon-Sangsamchung with Jinujo, Byenujo, and Byeolgok only observable in modern record. In other words, with the change in times, more various tones are used.
    Secondly, in the case of change pattern, there are cases of having similar melodies but different sigimsae. In the case of different sigimsae, ornaments, tremolo, and staccato are compared in detail. Among these, the change pat-tern with the most frequency is the case with different melodies. They are expressed by subdividing and increasing of sounds and expanding of musical expressions. For sigimsae part, the frequency of the change by ornaments was frequent, mainly using ‘holding technique’ for single key. Next was the sigimsae that emphasizes like tremolo and sta-ccato. In addition, although these differences did not take up a major part in overall sense, in actual playing aspect, there can be a big artistic difference in expressing music for each player. This is the life of Sanjo and it shows how the beauty of self-taught music that expresses sounds freely is related to artistic creativity that can engender new Sanjo.
    The current learning method for Sanjo is playing the teacher’s Sanjo in the exact sense for which the learning method and environment focuses on the meaning of transmission, making it impossible for comtemporary players to create Sanjo. However, the artistic flexibility of Sanjo is the characteristic of Sanjo music that allows one player to express music in different expression and sense according to the time and place and this should be the foundation of forming new San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