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0년대 말 70년대 중기 法頂의 사회민주화 운동 硏究 -'영혼의 모음'에 나타난 원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Democratization Movement of Ven. Beop-jeong from the late 1960s to the mid-1970s. -Focused on Manuscripts of Original Sound of Soul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6
42P 미리보기
60년대 말 70년대 중기 法頂의 사회민주화 운동 硏究 -'영혼의 모음'에 나타난 원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28호 / 255 ~ 296페이지
    · 저자명 : 여태동

    초록

    일반적으로 법정스님(1932~2010)을 평가할 때는 '무소유'의 가르침을 실천한 수필가로 인식한다. 하지만 법정스님의 초기 저작의 상당한 부분에서 사회민주화에 대한 글들이 보이고 이와 관련된 활동도 상당히 한 것으로 파악된다.
    출가 후 1959년 해인사에서 정식 스님이 되는 비구계를 받을 때까지 경전과 참선수행에 매진했던 법정스님은 1958년 민주화 인사인 황산덕 서울대 법대교수를 만난다. 그로부터 당시 진보 사상지였던 ≪사상계≫지(誌)를 꾸준히 받아보며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키운다.
    또한 1960년부터는 통도사에서 운허스님이 주도했던 '불교사전' 편찬사업에 참여하면서 신문과 뉴스를 접하기도 한다. 해인사와 서울을 오갈 때는 서울 선학원 앞에서 스님이 5.16 군사쿠데타로 피를 흘리는 모습을 보며 사회민주화에 대한 발원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법정스님은 사회민주화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표현했다.
    서울 생활에서는 봉은사 다래헌에 주석하면서 불교신문의 전신인 ≪대한불교≫ 의 주필 겸 편집국장과 논설위원을 역임하며 다양한 글을 썼고, ≪씨알의 소리≫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함석헌 목사와 ≪사상계≫ 사장이었던 장준하 선생과도 교류를 하며 사회민주화에 투신하기도 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용에 중점을 두고 법정스님의 최초의 수필집인 '영혼의 모음'에 보이는 사회민주화에 대한 글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al Democratization Movement of Ven. Beop-jeong from the late 1960s to the mid-1970s, focusing on the manuscripts of Original Sound of Souls.
    Generally, Ven. Beop-jeong (1932-2010) is recognized as an essayist who practiced the teachings of “Non-possession.” However, many of Beop-jeong's early writings reveal his ardent thought on the social democratization and his activities related to it.
    From renouncing the secular life until becoming a formal monk at Haeinsa Temple in 1957, Beop-jeong worked hard o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Seon(禪: meditation). Actually, a turning point in his life is to meet Hwang San-deok, a law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ro-democracy figure in 1958.
    Since then, he has steadily subscribed Sasanggye(≪사상계≫)”, which was a progressive magazine at that time, and it has developed critical views on the world.
    In addition, since 1960, he participated in the “Buddhist Dictionary” compilation project led by Ven. Unheo at Tongdosa Temple, and he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newspapers and news. He continued to work for the project, coming and going to Haeinsa Temple and Seoul. At that time, he happened to watch a monk bleeding while meddling in the May 16 Military-Coup in front of Seonhakwon in Seoul. After experiencing that scene of accident, he offered a prayer for social democratization of Korea.
    Through this process, Beop-jeong expressed his various ideas about social democratization. While staying at Daraeheon of Bongeunsa Temple in Seoul, he wrote diverse articles as an editor-in-chief and editorial writer of “Dae-Han Bulgyo”, which was the forerunner paper of “Buddhist Newspaper.” And he also worked for the journal of Ssialeui Sori(≪씨알의 소리≫), and kept good company with Pastor Ham Seok-hun and Jang Joon-ha. Jang Joon-ha was a president of the Sasanggye(≪사상계≫) and dedicated himself to the social democratization.
    Considering these points, I tried to analyze the writings of Ven. Beop-jeong’s social democratization, focusing on his first collection of essays, Original Sound of Sou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