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현병 환자의 입원 치료시 약물처방 경향의 변화 : 일 대학병원에서 1996~2000년과 2006~2010년의 차이 비교 (Psychotropic Prescription Patterns for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 10-Year Comparison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South Korea)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5
8P 미리보기
조현병 환자의 입원 치료시 약물처방 경향의 변화 : 일 대학병원에서 1996~2000년과 2006~2010년의 차이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생물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정신의학 / 21권 / 2호 / 49 ~ 56페이지
    · 저자명 : 황인환, 김대호, 오대영

    초록

    조현병 치료에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은 필수적이며, 조현병의 호전 혹은 악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꾸준한 약물 복용은 조현병의 재발을 방지하기 때문에, 환자들의 약물 순응도는 조현병의 예후와 직결되고, 정신의학자들은 약물 순응도들 치료의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간주해왔다.1)2)조현병 환자들에게서 약물 순응도가 떨어지고, 자의적으로 약물 복용을 중단하는 데는 병식의 부족과도 관련이 있지만 약물의 부작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1) 때문에 환자들에게 꾸준한 약물 복용을 강조하기 위해선, 우선 처방하는 정신과 의사들이 적절한 항정신병 약물을 처방하고, 특히 약물의 부작용을 적극적으로 관리해 주어야 한다.3)항정신 효과의 증대와 약물로 인한 부작용의 감소를 위한 방향으로 항정신병 약물이 개발되어 왔다. 1950년대에 전형 항정신병 약물이 개발되고, 이로 인한 추체외로부작용이 보고되며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이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신경운동계통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1990년대에 들어 risperidone,olanzapine, quetiapine과 같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개발되었다.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기존의 전형 항정신병약물에 비해 치료 효과가 좋으면서, 추체외로부작용 등의 부작용은 줄어들어, 점차로 전형 항정신병 약물을 대체하게 되었다.4)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이후에 risperidone이 소개된 후,olanzapine, quetiapine 순으로 도입이 되었고, 이후로도 새로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지속적으로 도입되며, 약물 처방경향의 변화도 나타났다. 이런 변화에 발맞추어 2006년에는국내 실정을 반영하여 ‘한국형 정신분열병 약물치료 지침서2006’이 개발되었다. 지침서에는 1차 선택약제로 risperidone,olanzapine과 같은 비전형항정신병 약물을 추천하였고, 우울증상이 있는 경우 우울장애와 마찬가지로 항우울제를 사용하며, 안전성과 효능의 이유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가 1차 선택약제로추천되었다. 추체외로부작용에 대해서는 항콜린제와 같은 항파킨슨 약물이 추천되었으며, 좌불안석증에서는 베타차단제(beta-blockers)와 벤조다이아제핀(benzodiazepine), 항콜린제(anticholinergenic drugs)의 조심스러운 사용이 권유되었다.
    또한 공격성이 두드러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분 조절제의병합은 효과적이라는 근거가 제한적이었다는 치료지침을 발표하였다.5)그럼에도 실제 임상 상황에서 조현병 환자들의 약물 처방의 변화와 추세에 대한 문헌은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이전연구들 대부분은 항정신병 약물 사용에 국한되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임상상황에서 다종약물요법(polypharmacy)은 흔히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알고리즘이나 진료가이드라인 문헌은 부족하며, 처방의사의 개인적인 성향이 많이 반영되기도 한다.6)7)이 연구는 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입원하여 조현병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들의 퇴원처방을 조사하여 정신작용제(psychotropic agent)의 종류 및 용량을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는 한 대학병원 단위이기는 하지만, 정신과 약물 처방 변화를 이해하고, 실제로 임상에서 처방되는 다양한 정신작용제의 내용이나 처방패턴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서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 Previous literature on the prescription change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ainly focused on antipsychotics. This study investigated chronological change in the patterns of discharge medication among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at a psychiatric inpatient unit of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Methods : All admission records at a psychiatric unit of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with discharge diagnosis of schizophrenia during two different five-year time frames (1996-2000 and 2006-2010) were reviewed including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and discharge medication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a total of 207 patients (95 in 1990s and 112 in 2000s).
    Results : The frequency in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p < 0.01), antidepressants (p < 0.05), beta-blockers (p < 0.01), and benzodiazepine (p < 0.0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000s. Anticholinergic drugs were less likely used in 2000s (p < 0.01). We di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quivalent dose of antipsychotic drugs, the use of mood stabilizers and cholinergic drugs between two time frames.
    Conclusions : Increased proportion of atypical antipsychotics and decreased use of anti-parkinsonian drugs are in line with literature. Our results show that more diverse classes of psychotic medications are used for schizophrenia in recent years. It is likely that psychiatrists are becoming more conscious of negative symptoms, anxiety, and depression in the pharmacotherapy of schizophrenia as well as positive symptoms of the ill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물정신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