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당의 전쟁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Silla・Tang in 660~662)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12
49P 미리보기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당의 전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38호 / 65 ~ 113페이지
    · 저자명 : 장창은

    초록

    660년 11월 고구려가 신라의 七重城[경기도 파주시 적성]을 공격하였다. 칠중성은 임진강 남쪽 신라의 방어체계에서 거점성 역할을 했던 요충지였다. 고구려는 당시 신라의 주력군이 백제 부흥운동군 진압에 투입된 틈을 이용해 칠중성을 함락하였다. 다만 고구려 입장에서 칠중성이 처한 지리적인 조건이 불리했고, 660년 12월부터 당군의 고구려 원정이 공표되었던 까닭에 칠중성을 장기간 차지하지 못했다. 당의 고구려 침입이 소강상태였던 661년 5월 고구려가 기습적으로 北漢山城[서울시 광진구 소재 아차산성]을 공격하였다. 고구려는 죽령로를 경유해 여주의 述川城을 먼저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북한산성의 공략에 다시 나섰다. 이때 말갈이 육군의 주력을 이끌었고, 고구려군이 수군의 주력군으로써 북한산성을 양쪽에서 협공하였다. 그러나 북한산성 성주 동타천과 3천 여 거주민들의 저항을 받아 전투기간이 지연되면서 결국 회군하였다.
    660년 11월~662년 2월까지 제2차 高・唐 전쟁이 발생하였다. 당이 661년 4월에 재편성한 대고구려 원정부대는 6개 행군 35軍의 대규모였다. 6개 행군 중에서 소정방・임아상・방효태군은 水軍이었고, 글필하력・소사업・정명진군은 陸軍이었다. 먼저 고구려 원정에 나서 성과를 거둔 부대는 소정방군이었다. 소정방 수군은 661년 8월 대령강・청천강 하구의 전략적 거점지인 葦島를 공략하였다. 이어 대동강 하구로 진입, 동북진해 평양성 서쪽의 마읍산을 빼앗고 평양성을 포위하였다. 연개소문은 당 수군의 평양성 直攻을 예상하지 못한 채 요동방면에 아들 남생이 이끄는 주력군 3만을 파견하였다. 이때 압록강이 얼어버려 글필하력군에게 도강을 허용함으로써 전군이 몰살당했다. 그런데 서부 몽골 방면에 있던 鐵勒이 당에게 모반하면서 압록강을 넘어섰던 글필하력과 소사업군이 반란군을 토벌하는 데 차출돼 회군하였다. 평양성으로 직공했던 수군은 육군의 지원을 받지 못하면서 고전할 수밖에 없는 국면을 맞았다. 662년 1월 14일 수군으로 참전했던 패강도 대총관 임아상이 죽었고, 1월 18일 옥저도 총관으로서 嶺南의 수군을 이끌고 참전한 방효태군이 蛇水[합장강] 전투에서 연개소문에게 대패하였다. 평양성 일대에는 소정방군 만이 남게 되었다. 혹독한 추위가 찾아오면서 소정방군은 결국 신라에 원조를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
    661년 8월 문무왕은 熊津城에 고립되어 있는 당군을 구원하기 위해 군사를 거느리고 출정했고, 김유신군은 평양성의 당군을 지원하기 위해 북진하였다. 김유신군은 南川州[경기도 이천]에서 유인원군과 합세하기로 되어 있었다. 문무왕이 이끄는 군영이 始飴谷停[충북 보은]에 주둔해 웅진으로 진군하려 하자 백제 부흥운동군이 甕山城[보은군 회인]을 차지하고 있어 웅진으로 가는 길을 막았다. 이에 문무왕은 남천주에 있던 김유신과 유인원군에게 지원을 요청하였다. 두 부대는 고구려 원정길을 유보하고 회군해 보은 서북쪽 방면의 熊峴停에서 문무왕과 만났다. 661년 9월 25~27일 김유신 부대의 활약으로 옹산성은 함락되었다. 이후 상주 총관 품일이 일모산군[충북 청원군 문의]과 사시산군[충북 옥천군 이원] 태수를 이끌고 雨述城[대전 계족산성]을 함락시켰다. 이로써 웅진으로 가는 길이 열려 웅진성의 당군을 구원할 수 있었다.
    문무왕은 당 고종이 보낸 사신과 소정방 측으로부터 평양성으로 군량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받았다. 문무왕은 이에 661년 12월 김유신을 대표로 하는 고구려 원정군을 꾸렸다. 김유신은 5만의 군사가 한 달 이상 먹을 수 있을 정도의 군량을 가지고 평양성으로 갔다. 김유신 부대는 662년 1월 23일 七重河[임진강]을 건너 고구려 영내로 들어갔다. 이후 蒜壤-梨峴-獐塞[황해도 수안]를 거쳐 2월 6일 대동강 연안의 楊隩[柳浦里]에 도착하였다. 김유신군은 이 곳에서 배를 확보한 후 평양성 서쪽에 주둔하고 있던 소정방군에게 군량을 지원하였다. 소정방군은 신라로부터 군량과 의약품을 조달받은 후 당으로 돌아갔다. 이에 김유신과 같이 갔던 김양도는 군사 800명을 거느리고 바다로 돌아왔고, 김유신은 나머지 병사를 이끌고 회군하였다.

    영어초록

    In 660.11, Goguryeo attacked Territory of Silla which named Chiljungseong Fortress[Paju-si Jeokseong-myeon in Gyeonggi-do]. Goguryeo occupied the Chiljungseong Fortress using the time Silla's main force Subdued recovery of Baekjae. But Goguryeo Give up sovereignty of Chiljungseong Fortress. Because There geographical conditions was disadvantageous to defense. In 661.5, Goguryeo reattacked Bukhansanseong Fortress [Gwanggin-gu in Seoul]. That Battle ended in a Victory for Silla.
    In 660.11~662.2, The second War broke out between Goguryeo and Tang. At this time Tang organized 6 Armed forces 35 Battalion. In 661.8, Su Dingfang's army occupied the Wido. There was strategic position in Daeryeonggang and Cheongcheongang basin. After this, Su Dingfang's army Into Pyeongyangseong and laid siege to go there. Yeon gaesomun dispatched main force to the Amnokgang. At this time, because Amnokgang was froze Tang's army crossed the river. Finally Goguryeo's 30,000 military suffered annihilation. By the way, Tang was withdrawn from the Amnokgang basin. Because unexpected riot of Cheolleuk had Tang. As time goes on, Su Dingfang's army was isolated. Finally Su Dingfang's army had to request for assistance from Silla.
    In 661.8, King Munmu(r.661~681) went to the Wongjin Fortress with Troops for the relief of Tang's army. In that process, Kim Yu-sin led the Battle of Ongsan Fortress[Boeun-gun Hoein in Chungcheongbuk-do] to victory. Also King Munmu spent the provisions to Su Dingfang's army in Pyeongyangseong. Kim Yu-shin, assumed the mission. As a result, Su Dingfang's army return to Tang saf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