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통일 담론과 민족문학론 (The Unification Discourse and National Literature Theory in 197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12
34P 미리보기
1970년대 통일 담론과 민족문학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47호 / 399 ~ 432페이지
    · 저자명 : 박연희

    초록

    본 논문은 1970년대 문학에 나타난 분단인식 또는 통일담론과 이를 통해 민족문학론이 급부상하는 과정을 당시 주요 잡지의 특집을 통해 고찰했다. 예를 들어 『월간문학』은 김동리, 조연현이 편집을 담당한 만큼 해방기 문협파가 만든 소위 우파적 순수문학론의 내용을 답습하는 민족문학론을 보여주었는데, 흥미롭게도 7.4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된 무렵에 논조가 확연히 달라졌다. 예를 들어, 데땅뜨의 국제 정세와 남북간의 관계 개선은 역설적으로 분단이 고착화되는 계기였고 이때 비판적 지식인의 면모가 다층적으로 조명된다. 그런 점에서 이 글은 민족 개념의 규정 방식이 서로 다른 텍스트를 비교, 분석해 1970년대 민족문학론의 함의를 다시금 해명하고자 했다. 1970년대 민족문학론이 분단 문제에서 촉발되었다는 것은 문학사적인 상식에 해당한다. 그러나 전후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방된 통일담론과 그 시기적 문제성에 대한 고찰은 보다 실증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창작과비평』, 『문학과지성』, 『월간문학』을 대상으로 이들 매체 또는 편집 구성원이 실증적으로 어떠한 시간적 계기와 상이한 담론의 흐름 속에서 통일의 과제에 접근해왔는지 살피며 민족문학론을 정리하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영어초록

    l literature of 1970s has been motivated by the issue of Korean Division is a common knowle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which made a rapid rise in the 1970s through ‘Division Consciousness’ and ‘Unification Discourse’ in the Korean literary circles. Although the fact that the theory of nationadge for literature, it is needed to examine the formative period and its problems of ‘Unification Discourse’ after the Korean War in much more factual and objective ways. The response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to the Korean Division and the fragmentation of Korean literary discourse have showed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aspects.
    Therefore, showing the changes in the contents of feature stories and the members of editors of major magazines of the time of 1970s, such as Creation and Criticism, Literature and Intellect, and Monthly Literature,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For instance, Monthly Literature favored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of right-winged view, since it was lead by Kim, Dongri, and Jo, Yeonhyeon. Its tone of arguments had been dramatically changed around the July 4th South-North Korea Joint Communiqué in 1972. The détente of international situations and the improvement in South-North relationship paradoxically served as a momentum to solidify the Korean Divi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