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아방가르드의 분화와 균열 (Differentiation and crack of the avant-garde in the 192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4
32P 미리보기
1920년대 아방가르드의 분화와 균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42호 / 67 ~ 98페이지
    · 저자명 : 안지영

    초록

    기존 연구에서 1920년대 한국의 다다이즘 시는 문예사조의 수용이라는 관점에서만 개략적으로 다루어져 왔을 뿐,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런데 당시 다다이즘 시를 발표한 김화산, 박팔양, 임화 등은 모두 사회주의 사상을 지닌 이들로, 1920년대 벌어진 아나키즘과 마르크시즘 이론 간의 논쟁에 참여한 바 있는 이들이라는 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논쟁이 진행되던 당시 당사자들은 각자 소위 ‘신흥문예’라고 불렸던 입장을 대변하며 논의를 진행했다. 이때 ‘신흥문예’라는 용어는 예술적 전위로서의 다다이즘 혹은 모더니즘과 정치적 전위로서의 사회주의, 아나키즘 등이 미분화된 상태를 대변한다. 이런 점에서 이 당시의 논쟁을 앞으로 문단을 이끌어나갈 ‘새로움’을 지닌 문예로서의 ‘신흥문예’ 개념의 전유를 둘러싼 논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미술계에서도 ‘신흥’이라는 용어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이는 김기진의 형인 김복진과 김용준의 대립으로 나타났다. 김복진이 신흥미술을 부르주아의 것으로 비판한 데 비해 김용준은 신흥미술 가운데 구성파 미술과 표현파 미술을 구분하는 한편 사회운동과 예술은 본질적으로 상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임화는 김용준을 ‘사이비 무산계급 예술론’이라고 전면 비판하며 김복진의 관점을 발전시켰다.
    문학계에서의 논쟁에 비해 미술계에서는 논쟁이 오래 지속되었으며, 김화산과 박팔양의 다다이즘 시 역시 이 가운데 발표되었다. 특히 이들은 아나키즘의 영향을 받아 당에 예속되지 않지만,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감정 표현에 알맞은 새로운 문학 형식을 추구했다. 이들이 다다이즘을 수용한 것 역시 신흥계급으로서 민중의 사상과 감정을 다다이즘을 통해 담아낼 수 있을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당시 발표된 박팔양의 「윤전기와 사층기」와 김화산의 「악마도」는 이러한 의도에 의해 창작된 것으로, 특히 아나키즘 사상의 영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1920년대 다다이즘 시의 정치성에 대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Dada peom in Korea during the 1920s haven’t receive much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By the way, among dadaist in Korea at that time, Kim HwaSan(김화산), Park PalYang(박팔양), Im Hwa(임화) who created much of Dada poems were all with socialist ideas and participated in debates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in the 1920s.
    At that time, the debates were discussed about so-called ‘newly-risen literature(신흥문학)’. This term represent the undifferentiated state as artistic avant-modernism and political potential. In this respect, the debate could be defined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oncept of ‘newly-risen literature(신흥문학)’.
    On the other hand, the debate in the art world took place over the term ‘newly-risen(신흥)’. Kim BokJin and Kim YongJoon confront respectively. Km BokJin criticized ‘newly-risen literature(신흥문학)’ as the newly-risen bourgeois art. On the other hand, Kim YongJoon distinguished between constructivism and expressionism and argued that art is essentially different with social movements. And Im Hwa(임화) gave criticism that Kim YongJoon’s thought is just false and pseudo.
    Debate in the art world had been a long-lasting than literary world, and Dada works of Kim HwaSan(김화산) and Park PalYang(박팔양) was announced at this time. In particular, they sought for new literary form suitable for expressing the feelings of proletariat but not enslaved the party, because they were under the influence of anarc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