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93년 보은집회 연구의 쟁점과 과제 (Issues and Perspectives with the Double Crossover Study of Leading people and Concepts on Boeun rally in 1893)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08
32P 미리보기
1893년 보은집회 연구의 쟁점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28호 / 59 ~ 90페이지
    · 저자명 : 왕현종

    초록

    1894년 농민전쟁에 대한 연구는 192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크게 보아 일제강점기, 1945년 해방이후 1970년대 전후, 그리고 1980년대 이후로 3시기로 나누어볼 수 있다. 1893년 3월부터 한달 동안 지속되었던 보은집회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는 김상기의 ‘동학과 동학란’ 이었다. 이 글은 동학이 출현한 사회 종교 배경에서 시작하여 동학 개념, 교조신원운동, 동학농민전쟁의 시말에 대하여 이후 동학연구의 기본틀을 제공해 주었다. 이어 김의환은 하층지도부로서 남접(南接)의 대두를 주목하였다.
    1980~90년대 연구에서는 교조신원운동의 흐름 속에서 교단측 지도자와 농민전쟁의 지도자들이 나누어진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조경달과 정창렬의 금구집회 연구에서는 교단 이외에 변혁지향 세력의 대두를 강조하였다. 현재 연구에서는 보은 집회의 주도층과 지향점을 둘러싸고 동학 교단 주도층과 남접 주도층으로 나뉘어진다는 견해와 그렇지 않다는 견해로 갈라져 있다. 그렇지만 변혁지향세력인 ‘남접’에 대한 논의는 아직 개연성으로 추론한 결과이지 충분한 설명논리가 제시되지는 못했다.
    1893년 보은집회의 기치와 지향점에 대해서는 주로 교조신원과 척왜양, 보국안민 등이 제기되었다. 척왜양을 통해 운동의 외연을 확대 강화할 수는 없으며, 당시 민중의 열악한 처지로 말미암아 보국안민이 제기될 수밖에 없었다. 종교적인 차원의 구호에서 현실 정치 개혁의 대상으로 전환되었다. 앞으로 보은 집회 연구의 전망과 과제에 대해서는 첫째, 보은집회가 갖는 민회로서의 성격과 전국적인 연대의 공간으로 자리잡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보은의 ‘장소성’에 주목해야 한다. 둘째, 보은집회를 거쳐 운동 전략의 수정과 전환이 이루어졌으므로 보은집회가 가진 민중운동의 계기성에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보은 장내리에서 민중 집회가 없었다면, 1894년 농민전쟁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역사적 관점을 제기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Research on the peasants war in 1894 have been made continuously from the 1920s. Periods of these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Japanese occupation, 1945~1970s, and after 1980s.
    The first monograph about Boeun rally that lasted one month in March 1893 was in Kim Sang-gi's 'Donghak and Donghak Rebel'. This article was to provide a framework of the study about the Donghak Movement's background in the society and Donghak concepts. Not only the vindication for their founder's grievances but also the whole story of the peasants war was to a framework of this. Kim Oui-hwan noted the rise of Namjeop (南接) as leaders of the lower classes.
    In the 1980s and 1990s research has noted that the movement leaders divided between church leaders and leaders of peasants' war during the movement of the redressing of their founder's grievances. Jo Kyung-dal and Jeong Chang-ryeol's studies on the Geumgu rally emphasized the rise of reform-oriented forces except for the church leaders.
    In the present study the opinions is divided the affirmation or the opposite with Namjeop leading authority and concepts in Boeun rally. Therefore this definition is a probable reasoning, it isn't still a full explanation about the forces of reform-oriented 'Namjeop'.
    The banner and notion for Boeun rally in 1893 mainly was in the vindication for their founder's grievances and the political slogan of "Anti-Japan, Anti-West" and "Boguk-Anmin(輔國安民)". The expanding breadth of the movement through "Anti-Japan, Anti-West" can not enforce. Through time to the condition of poor people the political slogan of "Boguk-Anmin" had to be raised. Religious slogans were converted to the subject of political reform.
    On future prospects and challenges of Boeun rally, a civic gathering and national solidarity as a national area should be noted first by the 'Place' of Boeun. Secondly, after Boeun rally switches between exercise and change of strategy meetings, Boeun Rally should be noted as a turning point of popular movements.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raise on a historical perspective that the Peasants' War of 1894 did not happen without Boeun Jangnae-ri r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데터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