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어학회 60년과 한국어 음운론 (Accomplishmen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honological Studies in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3
48P 미리보기
국어학회 60년과 한국어 음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93호 / 343 ~ 390페이지
    · 저자명 : 이문규

    초록

    이 논문에서는 지난 60년간 『국어학』에 실린 음운 분야 논문들의 성과와 특징을 이론 수용의 태도, 대상 시대와 주제의 양적 양상, 주요 논점 및 주제별 성과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국어학』 음운론은 생성음운론을 비롯한 다양한 음운 이론들을 참고하면서도, 그들을 시험하거나 단순 적용하기보다는 한국어 아래에서는 편의상 ‘국어’로 부르기로 한다.
    의 음운론적 본질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는 쪽으로 이용하는 데 치중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음운 이론 수용의 태도라는 측면에서 발견되는 『국어학』 음운론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양적인 측면에서는, 연구 대상 시대와 주제가 매우 넓은 영역에 분포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현대국어와 후기 중세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비중이 큰 가운데서도, 다른 시대의 음운에 대한 연구에도 적지 않은 관심을 주었다. 이러한 특징은 중앙어와 방언, 음소와 운소, 고유어 음운과 한자음, 음운론적 연구와 음성학적 연구 등의 관계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그 결과 『국어학』 음운론은 국어 음운과 관련된 대부분의 부면을 대상으로 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성과는 국어 음운의 본질을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질적인 측면에서는, 『국어학』 음운론은 음운사와 현대 음운론의 주요 주제들에 대한 논의와 함께, 이들을 탐구하고 기술하는 데 바탕이 되는 이론적 차원의 논의를 주도하였다. 15세기 국어의 음운 체계 및 근대국어 시기에 일어난 중요한 음운 변화들에 대한 주요 관점의 성립 과정, 공시적 음운 구조와 통시적 변화의 관계에 대한 이론 차원의 논쟁, 음운부와 관계를 맺고 있는 문법의 다른 부면의 구조와 작용에 대한 논의의 과정에서 이러한 『국어학』 음운론의 활약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 연구 성과를 인접 응용 분야에 더 널리 제공하는 일 등에 대해서는 『국어학』 음운론이 좀 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언어학의 다른 하위 분야는 물론이고, 다문화사회의 언어 문제, 다양한 층위의 언어 갈등 문제, 언어정책과 관련된 문제, 나아가 인공지능 개발 등 인간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꿀 실용 분야에 대해서도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s the papers on phonology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the phonology of JKL] over the last six decades.
    From the review, first of all, it is noticeable that the studies on phonology in JKL have placed the primary focus on manipulating various phonological theories, including generative phonology, in order to reveal phonological nature of the Korean language instead of simply trying to apply and practice the theories in Korean. This trend clearly seems to be a major characteristic of phonological study of Korean linguistics presenting the researchers’ attitude in adopting theories of phonology.
    This review also reaches conclusion that researchers have shown diverse and extensive interest in various periods and subjects in their studies.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worked on Korean in modern and latter medieval periods, there are still studies paid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language in many other times. This particular feature i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ies; of standard Korean and dialects, of phoneme and suprasegmental phoneme, and of phonology of native words and Chinese words, including phonological and phonetic researches. Thus, the phonology of JKL appears to cover almost all aspects of Korean phonemes, so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will contribute to clarify the comprehensive nature of Korean phonology.
    Finally, the phonology of JKL has led reasonable conclusions on the major topics of the history of Korean phonology and modern Korean phonology, while taking the steering role in discussing theoretical foundations: for example, in establishing perspectives and logics on phonological system of Korean in the 15th century; in arguing on theorie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synchronic structures and diachronic phonological changes; and discussing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other grammatical parts related to phonological components.
    Nevertheless, the phonology of JKL needs to be more aggressive and progressive in attempting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and to contribute the academic accomplishments to the applications. Further attention should be paid not only to the sub-fields of linguistics but also to more various issues such as language use in a multicultural society, language conflicts on various social levels, language policies, an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will cause fundamental change of human lif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