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0년대 초 인천지역 화교사회의 동향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1942년 화교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hinese immigrant society in Incheon during the early 1940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materials housed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published in 1942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02
43P 미리보기
1940년대 초 인천지역 화교사회의 동향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1942년 화교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24호 / 79 ~ 121페이지
    · 저자명 : 배성수

    초록

    1937년 시작된 중일전쟁이 1941년 세계대전으로 확대되면서 일본 본토는 물론 조선 전역이 전시체제에 돌입하였고, 식민지 조선은 전쟁 수행에 희생을 강요당했다. 일제는 물자의 수급을 조절하기 위해 엄격한 통제 정책을 시행하였는데 특히 경제 분야에 대한 통제는 조선인뿐 아니라 조선에 거주하고 있던 화교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전쟁 지원을 위해 시작된 일제의 경제통제 정책은 모든 물자 유통의 통제로 이어졌고, 화교들의 주식이라 할 수 있는 소맥분에 대한 가격과 배급통제도 실시되었다. 인천 화교사회의 소맥분 배급은 인천화상상회에서 주관하였으며, 사전에 수요를 파악하여 세대별로 할당량을 정하는 보다 강력한 배급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화상상회가 사전 조사를 통해 세대별 배급량을 정하고 각 세대에 배급증을 교부하면, 화교 세대는 그에 따라 지정된 판매업자로부터 소맥분을 구입할 수 있었다. 엄격한 배급통제 구조 속에서도 일부 화교세대는 배급증을 이중으로 교부받아 소맥분을 부당하게 취득하는 사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당시 화교사회의 소맥분 배급이 원활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 글에서는 전쟁이 한창이던 1942년 4월 생산된 「華僑領取小麥粉詳細表」와 이보다 4~5개월 뒤에 작성된 「仁川華僑世代別名簿」 자료를 분석하여 1940년대 초 인천 화교들의 생활상을 살펴보았다. 두 자료를 통해 파악한 1942년 인천 화교사회의 모습은 그간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산동성 출신의 화교가 93%를 차지하고 있었고, 가족단위로 구성된 세대가 많아 정주성이 강한 인천화교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인천의 화교상권은 업종에 따라 지역편중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잡화상, 금포상 등은 번화가에 위치한 반면, 음식점은 인천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화교인구의 절반가량이 무직으로 파악되었는데 아동과 여성이 주를 이루고 있어 가족으로 구성된 세대가 많은 인천 화교의 특징을 재차 확인해 준다.
    두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항은 1935년 당시 450명이 넘는 직업분포를 보이던 화교 농업세대가 누락되어 있다는 점이다. 두 자료 모두 인천화교 전체인구의 65~75% 정도만을 기재하고 있는데 여기에 華農세대를 포함한다면 당시 인천 화교사회의 완전한 모습을 복원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로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이 글에서는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화교자료를 학계에 소개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Following the Sino-Japanese war that broke out in 1937, for which the Joseon dynasty as a whole was mobilized into the state of war, it was proliferated into the World War in 1941 that forced then-colonized Joseon to sacrifice for the warfare. The imperialist Japan implemented a strict control policy especially for economic sectors in order to control supply and demand of commodities that widely affected lives of the Chinese expats in Joseon.
    This thesis examined the life style of the Chinese expats living in Incheon in the early 1940s through analysis of 「華僑領取小麥粉詳細表」 published in April, 1942 in the midst of the war and 「仁川華僑世代別名簿」 published 4 to 5 month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former. Above all, analysis of these two materials haven’t identified much difference from what had been revealed through prior researches over the life of the Chinese expats in Incheon in 1942. The Chinese from Shandong province accounted for 93% and it showed its unique sedentary characteristic as most of the Chinese residents formed family units. The Chinese commercial districts tended to be concentrated in certain regions depending on their business types. While general merchandisers and silk fabric vendors were populated in downtown, restaurants were located relatively widely across the whole areas of Incheon. At that time, almost half of the Chinese expats in Incheon were identified as being out of job but most of them consisted of women and children, reconfirm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population in Incheon who are formed as family units.
    What was found in common from the two materials was that more than 450 Chinese expats who had jobs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 1935 weren't counted into the total population. Both of the materials reflect only 65~75% of the total Chinese population in Incheon. It is regretful that the chinese expat community in Incheon at that time could have been restored in such a complete format if those Chinese agricultural households were to be included. Besides, this thesis aims to introduce materials related to the Chinese population in Incheon which is now archiv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to the academic circle although they have certain properties lacking in many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