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쌍계사 감로도(1728년)의 특징과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Gamrodo (Nectar Ritual Painting)(1728) at Ssanggyesa Temple in Hado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6
23P 미리보기
쌍계사 감로도(1728년)의 특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8호 / 139 ~ 161페이지
    · 저자명 : 유경희

    초록

    이 논문은 경상남도 하동 쌍계사에 봉안되어 있는 1728년 <쌍계사 감로도>에 대한 연구다. <쌍계싸 감로도>는 밝은 채색과 여백을 중시한 화면구성을 보이며 감로도 가운데 秀作에 속한다.
    쌍계사 主佛殿인 대웅전에는 靈駕薦度用 하단불화로 <쌍계사 감로도>(복제)가 현되어 懸掛되어 있다. <감로도>는 현 시점에서 대웅전에 봉안되어 예배의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대웅전의 불화로 여겨져 왔다. 필자는 <감로도>의 화기에 봉안처가 기록되지 않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이 감로도의 원 봉안처를 살펴보았다. 이에 <쌍계사 감로도>는 1728년 <쌍계사 팔상도>와 함께 같은 불사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현재의 팔상전에 봉안되었다. 팔상전은 쌍계사가 대웅전 영역을 재건하여 옛 법당영역과 구분되어 있을 때 고법당에 속하는 전각이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쌍계사 감로도>에 대한 중․하단 도상 특징과 전거가 잘 구명되어 있기에 본 논문에서는 불화의 상단 도상과 신앙적 배경 등에 대해 중심적으로 다루었다. 이에 <쌍계사 감로도>는 상단의 불·보살군이 화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七如來와 5위의 여래에 대해 칠여래와 함께 강림하는 阿彌陀佛과 四如來로 보았다. 또 2位의 인로왕보살과 벽련대는 영혼의 구제를 강조한 것으로 이러한 신앙 배경에는 쌍계사에서 간행된 『現行西方經』(1710년) 의 영향으로 추론해 보았다. 극락정토에 왕생하기를 발원하는 예참의식을 자세하게 서술한 이 경전은 18세기 쌍계사에서의 신앙의 일면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바다.
    하단의 재난과 풍속장면은 수륙재 의식집인 『天地冥陽水陸齋義纂要』에서 설하는 내용이 도상화되었다. 불화는 쌍계사 승렸던 明淨이 주도하여 조성되었고 일부 의겸파 화승이 동참하였다. 명정이 주도했던 <쌍계사 감로도>는 세밀한 필치와 안정된 화면 구성, 밝고 선명한 채색으로 뛰어난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며 18세기 전반 감로도를 대표하고 있다.
    이동할 수 있는 불화(탱화)의 특성상 현재의 자리에 봉안되어 있다 하더라도 언제든 봉안처를 옮길 수 있음을 생각해보는 자료다.

    영어초록

    Gamrodo, Nectar Ritual Painting is hung as a Buddhist painting at the lower alter of the Daeungjeon(the main hall) of Ssanggyesa Temple. Since Gamrodo is enshrined in Daeungjeon and is the subject of worship at this time, it has been naturally regarded as a discord in Daeungjeon. I studied the original Places of Worship Enshrining of Gamrodo, starting from the point that the painting record(畫記) of Gamrodo were not recorded. Accordingly, Gamrodo was enshrined in the present Palsangjeon after the same process as Ssanggyesa Palsangdo, Painting of the Eight Great Events in 1728.
    Since the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for Gamrodo have been well elucidated in previous studies, this thesis mainly deals with the iconography of upper alter and the religious background. Accordingly, Gamrodo takes the typical image of Gamrodo in the 18th century, but the Buddha and Bodhisattva at the top occupies a large part in the picture, and the relief of the soul is emphasized, such as the InRoWang Bodhisattva(引路王菩薩) and Byeokryeondae(碧蓮臺). In this religious background, Ssanggyesa shows the influence of the Hyenhangseobanggyeong(現行西方经), published in 1710. This publication, which describes in detail the ritual ritual for reincarnation in the Pure Land of Paradise,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Gamrodo, but it is noteworthy in that it shows an aspect of the religious trend in Ssanggyesa Temple in the 18th century.
    The lower section illustrates more detailed scenes of the water-land ritual. The monk painter, who supervised the production of Gamrodo, was a Buddhist monk, and since it was confirmed only in Palsangdo and Gamrodo at Ssanggyesa Temple in 1728, it is presumed that he was a monk belonging to Ssanggyesa Temple. Gamrodo, created under the leadership of Myeongjeong, shows outstand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in fine brushstrokes, stable screen composition, and bright and vivid colors, and represents Gamrodo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