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청사기상감정통4년명김명리지석(粉靑沙器象嵌正統四年銘金明理誌石)에 대한 고찰 (A Study on Kim Myeong-ri(金明理)’s Epitaph Tablet)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06
42P 미리보기
분청사기상감정통4년명김명리지석(粉靑沙器象嵌正統四年銘金明理誌石)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21권 / 109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분청사기로 만들어진 김명리(金明理) 지석(誌石)은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독특한 형태로 외형상 연봉형 꼭지에 종 형태이고 명필의 필치로 빼곡히 글씨가 채워진 귀중한 유물이다.
    지석은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조선시대 상류층에서 유행하였다. 『주자가례(朱子家禮)』에서 지석은 두 개의 돌조각으로 쓴다고 기록되어 있다. 김명리 지석의 내용은 표제문과 지문이 연결되어 피장자의 관직, 성명 그리고 가계, 이력, 성품, 가족관계, 글을 찬한 사람의 이름과 사유에 대해 자세하게 명시되어 있다. 이런 자세한 내용은 고려시대 석제 지석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면서 숭유억불의 정책을 펼치지만, 유교적 규범이 완전히 자리 잡기 전인 조선 15세기에는 여전히 불교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지석들이 제작된다. ‘분청사기 종형 묘지’도 여기에 해당된다.
    이 종형 묘지의 꼭대기에는 연봉오리가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연꽃은 고려시대 위패에 등장하던 장식요소로서 ‘연화세계(蓮花世界)’ 곧 ‘극락세계(極樂世界)’를 의미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자기로 만든 위패형 지석에 연꽃은 중심 문양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종형 묘지는 입체의 형태에 고려말〜15세기 유행하던 ‘조맹부체(趙孟頫體)’로 빼곡히 쓰여진 개인의 기록으로, 조선 초의 사료를 보완해주는 매우 귀한 자료이기도 하며 현재까지 발견된 묘지 중 유일한 형태이다.
    지석의 제작지는 피장자인 김명리가 기거했던 탄동과 장례를 치룬 장소가 모두 경기도 광주시로 가까운 거리에서 분청사기를 주문하여 제작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가장 유력한 가마는 바로 세종실록 지리지에 상품자기를 생산하는 자기소인 번천리[伐乙川]일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Kim Myeong-ri(金明理)’s Epitaph Tablet, creat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朝鮮) is a unique and valuable artifact with a Bell on the lotus flower bud shape and a touch of master of calligraphy filled with together.
    Epitaph Tablets were popular in the upper classes of the Goryeo(高麗) and Joseon(朝鮮) Dynasties in Korea. The contents of Kim Myeong-ri(金明理)’s Epitaph Tablets which linked to the title and the body are consisted that office position, name, family history, person history, personality, family relations and the name with reasons of the person whose wrote in response to a compliment.
    These details appear to follow the Stone Epitaph Tablets form of Goryeo Dynasty(高麗). Even thought Promoting Confucianism and oppressing Buddhism during of the kingdom changing from Goryeo(高麗) to Joseon(朝鮮), Epitaph Tablets with Buddhist elements were still produced in the 15th century of Joseon(朝鮮) Dynasty when Confucian standards were not fully established.
    This includes the bell-shaped cemetery in Buncheongware(粉靑沙器). A 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the peak of a lotus flower is at the top of this cemetery. The lotus flower is an ornamental element that appeared on the ancestral tablets of the Goryeo Dynasty(高麗), which means ‘elysium’ or ‘paradise’. The lotus flower appears as a central pattern on the ancestral tablet-typed Epitaph Tablets made from the Joseon Dynasty(朝鮮).
    And this three-dimensional cemetery has a personal document fully written in “Zhao Mengfu-style writing(趙孟頫體)” which was popular during the end of Goryeo(高麗)and 15th century. It is also an invaluable source of historical materials for the early Joseon period(朝鮮), and is the only type of burial ground found so far.
    A strong funace site of Epitaph Tablets's production is believed to be Banchunre(樊川理) where is near Tan-Dong in there Kim Myeong-ri(金明理) lived and Gwangju City(廣州市), Gyeonggi Province(京畿道) buried, and also porcelain manufactory for Buncheongware(粉靑沙器) sales ceramics discripted in 『A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世宗實錄地理志)』 was t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