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픽 모델링과 N-gram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연구 동향 분석 -2010년~2023년 WOS 및 SCOPUS DB를 중심으로- (A Trend Analysis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Research Using Topic Modeling and N-gram Analysis : Focusing on WOS and SCOPUS DB from 2010 to 2023)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5
33P 미리보기
토픽 모델링과 N-gram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연구 동향 분석 -2010년~2023년 WOS 및 SCOPUS DB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61권 / 169 ~ 201페이지
    · 저자명 : 강은진, 이용재

    초록

    이 연구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SCI급 저널에 게재된 한국 현대시 분야의 학술논문의 연구 동향을 토픽 모델링과 N-gram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토픽 모델링을 통해 한국 현대시 연구 분야의 핵심 주제군을 도출하고, 이 결과를 N-gram 분석을 통해 키워드들이 문서 내에서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패턴 각 키워드들의 연결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과정을 통해 총3개의 최적 토픽 그룹을 추출하였으며 각 토픽 그룹들에 속한 키워드들의 사용 패턴과 관계망을 도출할 수 있었다. 토픽1은 전쟁, 분단, 지역성, 현대성에 관련된 주제어들이 도출되었으며 토픽2에는 일본, 식민, 탈식민, 번역과 관련된 주제어들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토픽3은 문화, 정치, 민중, 증언과 같은 다양한 주제어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토픽들을 N-gram으로 분석하여 각 키워드들이 맺는 관계망과 패턴을 시각적으로 도식화하여 한국 현대시 연구의 국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축적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가장 최신의 한국 현대시에 관한 국제 연구가 한국의 역사를 기반으로 한 식민지배, 전쟁, 분단 등을 중요 인식 토대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작가 및 시인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반면 구체적으로 연구되는 한국 시인은 제한적이라는 사실도 드러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latest trends in international research on modern Korean poetry in a quantitative and scientific way. To this end, we analyzed and selected meaningful data from academic papers on modern Korean poetry published in SCI-level academic journals. We mainly focused on topic modeling and N-gram analysis based on the title, abstract, author, and publisher of the document. We obtained quite significant results, but there were also limitations due to the mechanical analysis method. During the preprocessing process, we mechanically refined the data, but it was difficult to completely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some of the keywords or tokens extracted from the N-gram analysis would hinder the consistency of the analysis.
    In addition, at the stage of selecting the analysis target, there were quite a few cases where the search result data deviated from the subject, so we had to examine and remove them one by one. Since the analysis target was limited to SCI-level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after 2010, the size of the confirmed data was reduced as expected after this selection process. How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st research trends, so we did not expand the search target period and performed the analysis. In the future, if we expand the analysis target and collect more abundant data, we will be able to identify research trends by country and language, and we will be able to obtain detailed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specific universities and researchers and specific keywords.
    Through topic modeling, three research topics on modern Korean poetry were extracted: topic 1 can be compressed into war and division, regionality, and aesthetics; topic 2 can be categorized into colonialism, decolonization, historicity, and connectivity; and topic 3 is about culture, politics, testimony, and resistance. These results show that research on modern Korean poetry is closely related to Korean history and pay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Wester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It also reflects the high interest in Korean poet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ctual active poets are limited to a limited range, such as Yun Dong-ju, Kim So-wol, and Kim Su-young. This can be said to be a result that provides a reference point for the direction of international academic activities related to the study of modern Korean poetry.
    After topic modeling analysis, we used N-gram analysis to see how the main keywords are related to other words in the research paper. The important results extracted from the network of keywords belonging to topic 1 show that research on modern Korean poetry is being dealt with in the context of the connection with East Asian literatur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es based on regionality, and the problem of diaspora or immigrants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wa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keyword group of Korean modern literature writers or poets is mentioned together with feminism or feminist.
    The results of N-gram analysis for the keywords of topic 2 show that research on modern Korean poetry is still being dealt with in the category of Japan-Korea relations and colonial literature. This perspective shows that modern Korean poetry is being highlighted in the context of comparing Japanes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clarifying colonial and postcolonial characteristics, and defining modernity and modernity.
    In addition, the keywords of topic 3 are mentioned in a series of contexts such as culture, politics, testimony, and resist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forming a network of words related to people's resistance and testimony, and language, such as the situation of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minjung literatur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 and memory. Some of these keywords form groups with Kim So-wol and Kim Su-young, indicating that they find the popular archetype of modern Korean poetry in these two poe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opic 3 show that the research topics on modern Korean poetry are becoming broader, but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 limitation that international research on modern Korean poetry has not yet been expanded to Korean poetry after 200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