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상가족’ 만들기와 아내들의 자리 ― 1970년대 후반∼80년대 한국추리소설 속 여성범죄자를 중심으로 (Creating a 'Normal Family' and the Place of Wives - focuses on female criminals in Korean mystery novels of the late 1970s and 1980s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8
31P 미리보기
‘정상가족’ 만들기와 아내들의 자리 ― 1970년대 후반∼80년대 한국추리소설 속 여성범죄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27호 / 37 ~ 67페이지
    · 저자명 : 안혜연

    초록

    본 논문은 1970년대 후반∼80년대 한국추리소설인 박완서의 『 욕망의 응달』(1979), 김성종의 『 부랑의 강』(1979), 하원의 『 회색수업』(1985)을 대상으로 당대의 여성-주부의 성역할 담론과 젠더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이 시기 젠더담론이 ‘남성에게는 공적 영역=순수함=정신화, 여성은 사적 영역=속물적=물질화의 영역을 할애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먼저 박완서의 『 욕망의 응달』은 인물이 구세대와의 단절을 통해 근대적 정상가족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이 과정에서 전통적 가치인 ‘효’나 속물적 가치인 ‘돈’이 아닌 개인적, 근대적인 ‘낭만적 사랑’을 핵심 가치로 하는 정상가족의 모델을 구현한다. 이어 김성종의 『 부랑의 강』에서는 남편의 불륜녀를 살해한 아내의 서사를 살폈다. 이 소설 속에서 ‘낭만적 사랑’을 축으로 한 근대적 ‘정상가족’ 내에서 남편의 불륜은 정신적이고 숭고한 것으로 묘사되는 반면, 아내의 살인은 광기와 분노에 찬 괴물로 묘사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 추리소설 작가인 하원의 『 회색수업』에서 남편을 독살한 아내를 분석하였다. 이 소설에서 남편은 정신적 숭고함을 추구하는 반면 여성은 언제나 세속적이고 속된 것에 몰두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남녀의 성별분업이 정신적인 영역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1970년대 후반∼80년대 한국추리소설은 핵가족을 모델로 한 정상가족을 선보이는 과정 속에서 여성들에게는 완벽한 내조라는 명목하에 집안일로 대표되는 사적 영역의 노동뿐만 아니라 비도덕적이며 세속적인 표상을 떠넘기고, 남성들에게는 정신적 숭고함을 부여하고, 도덕적 우월감을 제공하고는 서사들을 선보이고 있었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iscourse on gender roles and dichotomous gender perceptions of women and housewives in Korean mystery novels from the late 1970s and 1980s. The objective is to reveal that the gender discourse during this period assigned the qualities of the public sphere to purity and mentalization, predominantly attributed to men, while associating the private sphere with substance and materialization, predominantly linked to women. The focus is primarily on three novels: Park Wan-seo's The Desire of Shade(1979), Kim Sung-jong's The River of Tramps(1979), and Haewon's The Gray Class(1985), all of which feature wives as murderers.
    Firstly, the analysis centers on Park Wan-seo's The Desire of Shade as a text that illustrates the evolution of the modern nuclear family, marked by a departure from traditional values. It reveals that the concept of a “normal family,” grounded in “romantic love” rather than “filial piety” or “financial gain,” began to establish itself as the ideal family model.
    Subsequently, the narrative of a wife who murders her husband's adulterous partner in Kim Sung-jong's The River of Tramps is explored. The discussion points out that within the context of the modern ‘normal family’ defined by ‘romantic love,’ the husband's infidelity is depicted as spiritual and sublime, whereas the wife's act of murder is portrayed as madness, branding her as a rage-filled monster.
    Lastly, the focus shifts to the portrayal of a wife who poisons her husband in Haewon's The Gray Class a female-authored mystery novel. The analysis underscores that in this narrative, the husband is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pursuits of the spiritual and sublime, while the woman's concerns are predominantly centered around the secular and earthly. This reveals that the division of labor based on gender also extends into the realm of the spiritual.
    Through this examination, it is argued that the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normal family' structure, modeled after the nuclear family dynamics of the late 1970s and 1980s, imposed a demand for women to be entirely subservient, relegating them to the realms of the immoral and the secular. Simultaneously, it granted men a sense of moral superiority by bestowing upon them spiritual sublim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