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한국문학의 분기 현상 (A study on diverging phenomenon of Korean Literary in 196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9
21P 미리보기
1960년대 한국문학의 분기 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58호 / 375 ~ 395페이지
    · 저자명 : 임환모

    초록

    사회적 삶의 토대와 문학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한국의 현대문학사에서 전 시대와 구별될 만큼 다양한 분화가 이루어진 시기는 1930년대와 1960년대이다. 1930년대는 세계적 경제공황을 극복하기 위해 일본의 독점 자본이 한반도에 대거 유입되면서 불구적 형태의 자본주의적 경제체제가 형성된 시기이다. 공장이 들어서고 도시가 만들어지면서 신분제 사회가 급격하게 계급사회로 전환되고 자본주의의 시장 논리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사회의 분화 현상을 선취하거나 반영한 1930년대의 한국문학은 미적 형식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가능케 했다.
    1960년대의 한국문학은 1930년대와 같은 ‘감성의 분할’이 이루진 시기이다. 한국의 근대화 모델은 4ㆍ19의 정신주의 계열과 5ㆍ16의 기술주의 계열 사이의 길항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모든 권위와 억압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하는 ‘해방으로서의 근대성’을 추구한 4ㆍ19 추종 세력과 도구적 합리성에 입각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는 ‘기술로서의 근대성’을 추구한 5ㆍ16 추종 세력 간의 대립과 갈등은 많은 혼란과 무질서를 야기했다. 그럼에도 이 두 계열의 협력과 길항이 새로운 감수성을 길러내고 감성적인 것들의 언어적 분할이 가능했기 때문에 이 시기의 문학 스펙트럼은 매우 넓고 화려할 수 있었다.
    지성사적 관점에서 1960년대 한국문학 첫째, 자유와 합리성의 정신이 지식인 사회에 정착하면서 근대의 비판적 지성에 의한 문학적 주체의 탄생을 가능케 했다. 최인훈, 김정한, 이청준의 소설과 김수영, 신동엽의 시는 개인과 민족적 주체에 대한 자각을 보여주었다. 둘째, 이 시기는 ‘한글세대’의 등장과 새로운 감수성의 발현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감성적인 것의 언어적 분할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속칭 ‘4ㆍ19세대’라고도 불리는 이들 젊은 작가들은 언어에 대한 철저한 인식을 바탕으로 문학의 자율성을 신뢰하였다. 이들은 크게 미학적 자율성과 근대적 개인주의에 근거하는 ‘문지’계열과 사회적 근대성을 중시하여 문학적 실천을 문제 삼는 ‘창비’계열로 나뉘어 대립 갈등하면서 한국문학의 진폭을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1960년대부터 한국 사회가 진정한 의미의 자본주의적 삶의 체제가 구축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개발 독재에 의해 강력하게 추진된 근대화의 프로젝트는 우리 사회를 산업화, 도시화를 가속화했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질서와 사유 방식이 파괴되고 새로운 감성의 분할 방식이 등장하여 자기반성적 주체가 4․19와 5․16이라는 혼융된 역사적 사건 너머의 미적 근대를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모습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Any age and literature reflected society and society have been imitated. Literature are fed up with diagnosis and prescription about those days reality, the dream of the community for the future. Modern literature which can be linguistic art abut dimension of capitalist life has been divided into various aspects was due to literary property.
    It was very closely connected between the foundation of social life and literature. A variety of eruption that was distinguished fro and era before in literary history occurred in the 1930s and the 1960s. Japan’s capital is monopoly was introduced to Korea to overcome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1930s and a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of disabled form were formed. With factories were built and the city was formed, the feudal caste system became modern social hierarchy society suddenly and the logic of market capitalism were formed. Korea literature in 1930’s that had a preoccupation or reflected such a social differentiation phenomenon made it possible various experiments of the aesthetic form.
    It is time to spilt of emotion in Korea literature in 1960s like 1930s. A model of modernization in Korea can seek to antagonism between a spiritualism series of 4․19 and a descriptivism series of 5․16.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protege forces of 4․19 who were free from the oppression of all authority that was liberation of the modernity and protege forces of 5․16 who sought to maximize productivity to be based on instrumental rationality that was technology of modernity. Although, collaboration and antagonism between two series raised the new sensitivities and was possible the linguistic division of emotional things. And then, the literary spectrum in this time could be very wide and glamorous.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1960s were, first, the spirit of rationality and freedom settled in intellectuals society, and then it had been enabled the birth of literary subject by modern critical intelligence. Novels of Choi In-hoon, Kim Jeong-han, Lee cheong-joon and poems of Kim Soo-young, Shin Dong-yeop showed the self–awareness for each individual and ethnic entities. Secondary, the advent of the Hangul generation and new sensibility were done extensively manifestations and allowed the divide subject’s birth who had caused a split in language of emotional things. Popularly known as the 4․19 generation, these young writers had confidence in the autonomy of literature to based on a through awareness of language. They are divided into two antagonistic conflict to ‘Moon-ji’ series who were based on a aesthetic autonomy and a modern individualism and ‘Chang-bi’ series who valued social modernity and targeted the problem of literary practice, through this, they expanded the amplitude of the literature. Lastly, the point is that the real meaning of the capitalistic system of life began to be built in Korean society from 1960s. Strongly propelled Modernization project by development dictatorship was accelerating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of our society. In this process, traditional order and thinking way were destroyed, and a new way of splitting the sensitivity was to emer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