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전통’ 인식과 시조담론 (Awareness of ‘Tradition’ in 1930s and Discourse on Sij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04
35P 미리보기
1930년대 ‘전통’ 인식과 시조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3호 / 201 ~ 235페이지
    · 저자명 : 우은진

    초록

    근대 문학담론 속에서 시조는 ‘국문’으로 창작된 ‘전통’적인 ‘민족’ 문학이라는 가치로서 재발견되었다. 이때 ‘전통’이란 근대 이후에 창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변용되어온 개념이다. 1930년대 이후 시조는 그러한 ‘전통’의 표상으로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해 그 변화된 의미들을 덧입어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근대 사상과 동서양 인식의 전환, 제국주의 파시즘과 식민지사회 등 1930년대 사회의 여러 지점들 위에서 ‘전통’과 시조의 관계와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1920년대 중반 시조부흥론이 주창된 이후, 시조는 근대문학장 안에 시조론을 불러오는 동시에 ‘조선심’의 표상이라는 의미를 획득해갔다. 이어서 시조는 1930년대 ‘전통’ 기획과 맞물리며, 전통적 시형으로서 문단 전반에 인식될 수 있었다. 당시 일제는 강력한 사상 통제와 포섭을 통해 조선과 그 전통을 와해시키는 동시에 재편성해가고 있었는데, 시조는 그 위에서 혹은 그에 대응하며 ‘전통’으로 사유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1930대 후반, 전통지향성을 지닌 문예지 『문장』의 중심축이었던 시조시인 이병기는 실감실정의 표현을 통해 시조가 현대의식을 획득한 ‘전통’으로 계승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병기의 실감실정은 시조라는 고전 시형에 새로움을 입혀 조선의 ‘전통’을 창출하고자 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또한 모방에서 촉발되었으나 모방 속에서 저항의 힘을 만들어내고자 한 전유의 방식이기도 했다.
    한편 시조의 ‘전통’은 조선심의 추상성과 일제의 영향을 은폐함으로써, 당위적인 ‘전통’의 온전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는 모순을 안고 있었다. 더불어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시조에 부여되는 ‘전통’의 의미도 조금씩 변화하지만, 이 역시 원래 내재해 있었던 의미처럼 ‘자연화’됨으로써 시조와 ‘전통’은 그 자체가 지속성을 지닌 힘으로 인식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1930년대 ‘전통’과 함께 선택되고 추인된 당대의 시조를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현대시조의 의미화 과정이 지닌 한 부면을 탐색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Sijo (時調, Korean short lyric songs) amid discourse on modern literature had been rediscovered as ‘Traditional People’s Literature’ which was composed in ‘Korean Writing.’ ‘Tradition’ was created since modern era, and, at the same time, this is a concept that has been transformed keeping pace with the changes in society. After 1930s, those altered meanings have been added upon Sijo to make it exist continuously as a symbol of such ‘Tradition.’ Along this lin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Tradition’ and Sijo, and meaning thereof on various viewpoints of the society in 1930s including modernism, the chang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perception, imperialistic fascism, and colonial society, etc.
    Since the middle of 1920s when the theory of Sijo revival was advocated, Sijo has brought about the theory of Sijo in modern literature genre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cquired the significance as the representation of ‘Joseon Spirit.’ Subsequently, Sijo was able to be recognized across the literary world as the traditional form of poetry being geared with the plans in relation to ‘Tradition’ in 1930s. In those days,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dissolved Joseon and its traditions, and simultaneously reorganized the nation through strict thought control and cooptation. Meanwhile, however, Sijo was started being considered ‘Tradition’ beyond such control, or by responding thereto.
    In the latter part of 1930s, Lee Byeong-gi, the Sijo poet, who was the pivotal figure in the literary magazine 『Munjang, the Literature』 that aimed for tradition, thought that Sijo could be transmitted as by ‘Tradition’ which had acquired modern consciousness through the expressions of actual feeling and state. The expression in terms of actual feeling and state by Lee Byeong-gi was a measure to create ‘Tradition’ of Joseon by laying newness over classical form of poetry, so called Sijo. Also, it was his method in order to pull out the power of resistance amid imitation, although this was touched off from the imitation.
    On the other hand, ‘Tradition’ of Sijo had carried a contradiction which could establish whole and perfect image of normative ‘Tradition’ by concealing the abstractness of Joseon Spirit and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lthough the meaning of ‘Tradition’ bestowed upon Sijo was changing little by little amid rapidly changing situation, Sijo and ‘Tradition’ itself were able to be recognized as the power of continuation by being naturalized as it is the meaning originally inherent in i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contemporary Sijo which had been selected and confirmed together with ‘Tradition’ in 1930s. In doing so, the researcher explored an aspect of signifying process of such modern Si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