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한국영화와 수치심 (Korean Film in the 1960s and the Sham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09
32P 미리보기
1960년대 한국영화와 수치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69호 / 67 ~ 98페이지
    · 저자명 : 오영숙

    초록

    이 글의 일차적인 관심사는 수치심이라는 키워드로 1960년대 한국영화에 드러나는 감정과 마음의 풍경을 읽어내는 일이다. 스크린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수사의 양상과 그 형성 조건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명료한 말이나 담론으로는 표현되기 어려운 복합적인 당대의 대중 감정과 사회적 정서를 기술하고자 한다. 이것이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1960년대의 사회적 감정이자 정신이 된다.
    수치심은 1960년대 한국영화 전반에 걸쳐 편재적으로 등장한다. 가족드라마나 통속 신파물과 같은 멜로드라마를 비롯하여 청춘영화와 스릴러, 식민지 경험을다룬 영화,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을 담은 모더니즘 계열의 영화, 나아가 계몽적성격의 영화에 이르기까지, 수치심은 다양한 양상과 수위로 검출된다. 1960년대초반에 수치심이 주로 멜로드라마적 페이소스를 유발하는 장치로 사용되었다면, 1960년대 중후반으로 갈수록 수치의 양상은 부끄러운 자아의 성찰적인 응시라는문제로 심화되기도 한다. 또한 수치심에 사로잡힌 주체의 회복되기 힘든 심리적외상이 강조되거나, 죽음 내지 자살과 같은 자기 파멸적인 행로가 전개되는 특징을 보인다.
    “아버지는 형무소 살이 하다 죽었고 어머니는 갈보였다.” 1960년대의 대표적인 흥행작이었던 청춘영화 <맨발의 청춘>(김기덕, 1964)의 이 대사는 이 시기 멜로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수치심의 기원을 함축적으로 제시한다. 1960년대 영화들에서 유난히 부각되는 이 같은 수치심은, 민족적 역사에서 기인하는 집단적인수치심과 겹쳐지는 면이 있다. 1960년대는 분단 현실이 실감되면서 식민지 경험과 한국전쟁의 의미에 대한 아픈 인식이 공유되던 때이다. 굴욕적인 한일협정은신생독립국의 종속적 위치에 대한 실감을 전국민적으로 확대시켰다. 수치의 폭로와 전시는 참담한 현실을 개선할 가능성을 꿈꾸던 상상의 산물이며, 궁극적으로는 자기 성찰의 행위가 될 가능성을 갖는다.
    1960년대의 혹독한 검열과 규제 때문에, 한국영화의 대부분이 수치의 근원에대한 사회적 이해보다는 수치심으로 인한 개인의 내적 고통을 보여주는 것에 머물러 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수치의 진짜 원인과의 만남을 가로막고 근본적인 사고를 어렵게 만드는 물신적 내러티브가 구사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영화에서 수치심의 궤적은 탈종속적인 국가의 길을 발견하고자했던 집단적 자의식으로 이해될 여지를 갖는다. 그것은 식민지 시기부터 유예되던 주인의식의 실현 가능성을 상상함으로써, 공론장에서는 발언이 제한되던 사회적 외상을 치유하려던 하나의 시도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imary concern of this paper is to read out the landscape of a emotion and mind revealed in Korean films in the 1960s using the keyword 'shame'. This writing is intending to describe complex collective emotions and social sentiments of the time, which were difficult to express through clear words, or discourses, by asking about the aspects of rhetoric frequently appearing on the screen, and the formation condition thereof. What it is aiming for ultimately becomes social emotions, and also spirit in the 1960s.
    The emotion of shame appears ubiquitously across Korean films in the 1960s.
    Ranging from youth films, thrillers, films addressing colonial experience, films belonging to the series of modernism including memories of the Korean War, further up to the films of enlightening character including melodramas like family dramas, or common tear-jerking dramas, shame is detected in diverse aspects. If we suppose that in the early 1960s, shame was used to mainly arouse melodramatic pathos, however, the aspect of shame more deepened into the problem of introspective staring of shameful ego as well, especially in the mid & late 1960s. Also, the aspect of a shame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hardly recoverable scars and trauma of a subject seized with shame are more emphasized, and a self-destructive path of one’s life like death and a suicide is developed.
    “My dad died in prison, and mom used to be a prostitute.” This line from the youth film <The Barefooted Young>(Directed by Kim, Ki-deok, 1964),which was the representative biggest box-office hit in the 1960s, connotatively suggests the origin of shame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melodramas during this period. The shame like this, which was played up particularly in the films of the 1960s, overlaps with the collective shame attributable to national history in a sense. The 1960s marks the time when painful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colonial experience and the Korean War was shared among the people with their realization of the reality of Korean division. The humiliating 1965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served to expand the realization of a subordinate position of a newly-independent nation across the entire country.
    The exposure and display of shame are the products of imagination dreaming of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horrible reality, and ultimately hav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self-reflexive behavior. Most of the Korean film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remain at a level of showing an individual’s internal pain due to the shame rather than social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the shame because of rigorous censorship and regulations in the 1960s. Nevertheless, the path of shame in the films of the 1960s has room for being understood as collective self-consciousness which intended to discover the post-subordinate nation’s path. It could be an attempt at healing social trauma, for which giving a speech was banned in public sphere, by imagining realizability of authentic self-reliance that had been suspended since the colonial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