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립극단을 통해 본 한국 역사극의 지형도: 1950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Drawing the Landscape of Korean Historical Drama Through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Focusing on the period between 1950 through 1979)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1.06
56P 미리보기
국립극단을 통해 본 한국 역사극의 지형도: 1950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34호 / 34 ~ 89페이지
    · 저자명 : 김성희

    초록

    담론적 구성물인 역사극 읽기에서 중요한 것은 텍스트만이 아니라 텍스트를 둘러싼 컨텍스트이다.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 말까지의 국립극단의 역사극을, 텍스트와 컨텍스트와의 상호텍스트성을 탐색하는 신역사주의적 방법론으로 고찰하였다.
    역사극은 민족담론을 내장하기에 가장 좋은 매체로 받아들여졌는데, 그 이유는 과거를 호출하면서 민족의 동질성이란 코드로 과거와 현재를 연결 짓고, 민족을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연극양식이기 때문이었다.
    1950년 국립극단의 창단작인 <원술랑>은 당대 현실의 알레고리로서 역사를 소환하는 방식, 시각적 멜로드라마 양식이란 점에서 식민지 역사극과 연속성을 보인다. 분단체제의 고착화로, 삼국시대를 소환하는 역사극에선 신라가 ‘민족적인 것’의 기원으로 배치된다.
    1960년대 이후엔 역사인식과 글쓰기방식의 다변화가 일어난다. 1960년대엔 전쟁기억을 재현한 작품들이 대다수를 이루는데,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기억 행위에 작동하는 타자성이다. 1970년대 중반 이후에 공연된 도식적인 반공극들은 지배담론이 총체적 사고를 불가능하게 하는 억압적 담론으로 기능함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70년대 국립극단의 역사극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성은 국난의 역사와 영웅을 호출하는 경향성이다. 그 중 한 갈래가 이순신으로 대표되는 ‘기념비의 정치학’이고, 또 한 갈래는 식민지시기의 독립투쟁 서사이다. 영웅호출의 역사극은 민족/국가담론을 내장하여 국민을 통합하고 국가 동원의 주체를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70년대 역사극은 담론투쟁의 장이기도 했다. 국가담론과 민중담론의 제휴, 혹은 담론 투쟁 양상이 나타난다. 또한 ‘아래로부터의 역사’ 시각으로 민중, 여성 등 하위주체를 그린 역사극이 등장한다. <객사>(1979)는 ‘아래로부터의 역사’ 시각과 더불어 여성주체가 서사를 주도한다. 그러나 민족을 단일한 주체로 구성해내는 민족담론은 민족 내부의 이질적 집단들을 단일화시키는 지배담론으로 작동하면서 민족 내부의 다성성에 대해 억압적 권력을 행사한다.

    영어초록

    When reading a historical drama which is a discursive construct, context surrounding the text is as important as the text itself.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ramas performed by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from 1950s to late 1970s using the New Historical methodology that explored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text and context. Historical drama was perceived as the medium most suitable to incorporate nationalist discourse. That is, it was a theatrical form that connected past and present with the code of national identity and reresented nation through visualization.
    <Wonsullang>, which was the first play performed by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in 1950, was in continuance with colonial historical dramas, in that it summoned history as an allegory for the existing historical reality, and was a visualized melodrama. In this historical drama which was triggered by the solidification of national divid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illa was established as the origin of 'what is uniquely national.
    Numerous changes started to take place in the historical perception and the manner of writing after 1960s. Texts representing the war memories occupied majorities of works performed in the 1960s. What became problematic In those works was the otherness that was at work in the act of memory. The stylized anti-communist drama since the mid-1970s was an example of a dominant discourse operating repressing a total thinking.
    What characterized the 1970s' historical drama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was the history of national hardship and emergence of national heroes. One was the 'politics of monument' reprented by the General Yi Sun-sin and the other was the narrative of independence fighte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Historical dramas that summoned national heroes took on the role of unifying Korea as a nation and constructing national subjects by internalizing national/state discourse. At the same time, 1970s' historical drama was the sight within which discursive struggles took place. State discourse would at one point join hands with the discourse of people, and compete with it at another.
    Historical dramas depicting subalterns emerged which wer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history from bottom up.’ <Guest House> (1979) was a case in point, where female subject led the narrative and took on the perspective of ‘history from the bottom up.’ However, nationalist discourse that homogenized different groups into a nation as one subject worked as the dominant discourse that repressed the diversity and multiplicity within a na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