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의 식량 위기론 : 1990년대와 2020년대 사례 비교 분석-FAD와 FED 접근법 중심으로- (The DPRK's Food Crisis: Comparative Analysis of Cases in the 1990s and the 2020s- Focused on FAD and FED Approaches-)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9
51P 미리보기
북한의 식량 위기론 : 1990년대와 2020년대 사례 비교 분석-FAD와 FED 접근법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91권 / 49 ~ 99페이지
    · 저자명 : 박성열, 한지만, 정원희

    초록

    이 글은 최근 제기되는 북한의 식량 위기론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FAD(Food Availability Decline; 식량가용량 감소)와 FED(Food Entitlement Decline: 식량획득력 감소) 이론을 활용하여 1990년대와 2020년대 사례를 비교하였다. FAD는 식량의 가용량을 중시하나, FED는 식량 획득을 위한 분배체계와 시장의 식량 교환권 보장이 중요하다고 본다.
    분석 결과 1990년대 대기근은 자연재해 등으로 FAD 관점의 식량 생산량 감소 탓도 있으나, FED 관점에서 배급 체계가 붕괴되고 시장에서 식량교환 획득체계가 작동하지 못한 것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대 식량 위기론은 대북 제재와 코로나19 봉쇄로 무역과 외부 도입이 급감하고 자연재해까지 발생해 공급량이 감소해 비롯된 것이나, 1990년대처럼 대기근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20년대가 1990년대와 다르게 국가기관과 기업소, 공장 및 협동농장, 국영농장의 공적분배체계(PDS)가 가동되고, 특히 시장의 식량교환 획득체계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북한 전역의 시장은 공급과 수요 논리가 작동하는 시스템으로 자리잡아 식량 부족을 보완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봉쇄와 내부 통제가 장기화되면 위기론이 지속되고, 빈곤층·노약자 등 약자층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
    이 글은 정책적 시사점으로 단기적으로 FAD 관점의 가용량 부족에 대응해 남한 정부가 국제사회와 협조해 식량과 코로나 19 대응을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는 FED 관점의 획득력 제고에 초점을 맞춰 북한의 농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술 지원이나 북한의 시장 및 경제적 제도개선 자문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termine how serious the current food problem is in the DPRK. To this end, the food availability decline(FAD) and food entitlement decline(FED) approaches were implemented to compare the Arduous March (great famine) period of the 1990s with the food problem of the 2020s. FAD focuses on the total amount of food supplied, while FED focuses on food distribution systems and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purchase food in the market.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lack of production was not the sole cause of the famine in the 1990s. The DPRK received between 0.5 and 1.6 million tons of food aid each year in the 1990s, which is enough to meet its essential food needsg. Although the food supply decreased during the key period of 1995-1997, the concentration of victims in specific regions and classes is believed to be largely due to the FED aspects, that is, the collapse of the public distribution system and the failure of the market-based food purchasing system.
    The food crisis of the 2020s stems from a sharp drop in trade and imports due to sanctions against the DPRK and the COVID-19 related lockdown, as well as a decrease in supply due to natural disasters. However, we have heard no reports of starvation because, unlike in the 1990s, the public distribution system (PDS) for government agencies, enterprises, factories, cooperative farms, and state-run farms is still operational in the 2020s, albeit to a limited extent, and, in particular, because the market-based food purchasing system is functioning. More than 400 markets scattered across the DPRK provide food on a supply and demand basis and function as a mechanism to mitigate the food shortage.
    However, if foreign trade blockages and internal controls are prolonged due to the continued sanctions against the DPRK and the COVID-19 crisis, it may become more difficult to invest in agriculture and restrictions on movement and distribution will continue, resulting in a continued even intensified, food crisis. Moreover, with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as emerged in recent years due to individual economic activities in the market, the risk to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such as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infants has increased.
    Therefore, as a policy implication, in the short term, the ROK government should act on the FAD aspect by cooperating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ctively review food aid and COVID-19 support in response to the shortage of food supply, and in the mid to long term, it should act on the FED aspect by offering technical support or advice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or to improve the DPRK's market and economic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