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 재료 표현특성 연구 - 2013년~2015년 패션소재 트렌드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aterials Expressive Characteristic of Space Design through the Fashion Trend Analysis -Focused on Fashion Material Trend Analysis in between 2013~2015-)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09
15P 미리보기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 재료 표현특성 연구 - 2013년~2015년 패션소재 트렌드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1권 / 3호 / 495 ~ 509페이지
    · 저자명 : 이선주, 김시연

    초록

    공간디자인과 패션디자인은 서로 다른 분야지만 교류가 점차 활발해 지고 있다. 그리고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능한 영역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는 새로운 트렌드를 리드하는 신소재 발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패션디자인에서 나타난 트렌드한 소재와 공간디자인에 사용되는 자재와의 상관성을 고찰하여공간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자재 특성을 제안하려고 한다. 연구방법은 2013년∼2015년도 까지 3년간의 S/S 시즌 대표 컬렉션의 의복을 중심으로 재료 및 소재의 시각적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디자인 특성, 소재, 표면감 등을살펴보았다. 분석의 틀은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사용하였으며 선행연구, 문헌자료 고찰을 통해 공간 영역에서 영향력을 나타낼 수 있는 재료의 디자인 특성을 키워드 중심 개념으로 제시 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패션소재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 재료 표현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적 감성을 지닌 '실용성'은 인공성과 자연성향이 함께 융합되어 두 가지의 감성이 동시에 존재하도록 표현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둘째, ‘장식성’ 은 역사적인 내용들이 가미되며 클래식한 감성과 이국적인 장식 패턴들을 사용할 때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으로보인다. 셋째, ‘자연성’은 수준 높은 퀄리티와 촉감이 지닌 미학을 살려내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넷째, ‘유연성‘은 다양한 요구와 기능을 가변적으로 유연하게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부드러운 서페이스 마감재가 표면에 적용되는 것 등을 뜻한다. 앞으로는 패션디자인과 공간디자인의 서로간의 경계가 모호해 지며, 표현 특성 역시 트렌드에 영향을 받아 점차 다양화 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이미지 형용사를 중심으로한 트렌드 분석을 통해 자재 표현특성이 디자인에서 적용 가능성을 열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Even Interaction space and fashion design are different, their interac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active. The area to influence each other is continuously expanding. The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to explore new material to lead the new trend in space design and to propose new design material characteristics by looking into relevancy between newly introduced material trend in fashion design and the one in space. The materials of representing fashion trend from 2013 to 2015 for 3 years were collected to analyze texture, character -istics, properties and image individually. Image scaling was used for analysis framework and the key word was select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reference papers to identify representing material property in fashion design to adapt it to space design. Those key words identified through fashion material analysis to adapt in space design are practicality, decorativeness, naturality, and flexibility. First, practicality is effective sensibility since it can integrate artificiality and naturality and is expected to present those two properties at the same time. Second, decorativeness can shine when classic sensibility and exotic decoration pattern are used with historic contents. Third, naturality focuses on reviving aesthetic feelings with high quality and sense of touch.
    Fourth, ‘flexibility’ is to satisfy various functions flexibly in chageable manners by using different material keeping its own inherent. It means that soft finishing material are applied on the surface. In future, boundaries between fashion and space design becomes more and more vague and characteristics expression is expected to be various and diverse influencing trend. Thus, these trend analysis can open diverse adaption opportunity of new design, finishing, and surface material in mater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