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해양 문화 담론 연구 (A Study On Discussion of Marine Culture During the 196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11
18P 미리보기
1960년대 해양 문화 담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근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근대학연구 / 58호 / 167 ~ 184페이지
    · 저자명 : 임상민

    초록

    본고에서는 전후 일본의 이승만라인을 둘러싼 해양 문화 담론의 특징을 계보적으로 살펴보고, 한일회담의 중후반 과도기에 속하는 1961년에 출판된 『소년의 바다』라는 작품을 통해서, 동 시대의 해양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했다. 또한, 독서감상문 콩쿠르의 지정도서로 선정된 『소년의 바다』가 동시대의 학교라는 공간 속에서 학생들에게 어떠한 해양 인식과 경계 인식을 만들어 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고찰을 시도했다.
    그 결과, 이승만라인을 둘러싼 해양 문화 담론은 한일 어업문제 그 자체에 대한 해결보다는 일제강점기의 재산청구권문제(제1기)와 북한송환사업(제2기), 그리고 쿠데타에 의해 성립된 군사정권(제3기)과 연동되면서, 일본의 미국 해상주권에 대한 열등감 은폐와 재일조선인의 국외 추방, 그리고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에 따른 한미일의 정치적・경제적・군사적 유착 관계를 만들어내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년의 바다』는 일본인 소년의 한국 밀항과 4・19혁명을 목격하면서 국민의 자각적인 행동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지만, 정작 한국 밀항을 도와준 혼혈로서의 재일조선인 임리방과 그의 남동생 임태준이 왜 한국으로 강제송환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을 회피하고 있다. 특히, 당시 독서감상문 콩쿠르에 입선한 작품을 살펴보면, 임리방의 일본으로의 역밀항을 단순히 국가를 초월한 개인의 사랑으로 해석함으로써, 전후 식민 유재로 남아 있는 재일조선인에 대한 사유를 결락시키는 교육장치로 작용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discussion and pedigree of marine culture surrounding Lee Seungman Line in post-war Japan, and, based on the book ‘The Boy’s Sea’ published in 1961, which belongs to the mid-to-late transitional period of Korea-Japan talk, analyzed perception of the sea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lso, it discussed how the book ‘The Boy’s Sea,’ which was selected for a book review competition created perception of the sea and boundaries among students within the space of contemporary school.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scussion of marine culture surrounding Lee Seungman Line is linked with property claims relate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1st period), North Korean repatriation (2nd period), and military regime established via coup (3rd period), rather than resolving fishery issue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refore, used as a tool for concealing Japan’s inferiority in maritime sovereignty to the US, deporting Koreans from Japan, and creating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relationship among Korea, Japan, and the US, according to the US’ East Asia policy.
    In ‘The Boy’s Sea,’ the Japanese boy manages to stow away to Korea and witnesses the 4.19 Revolution, realizing the importance of autonomous action of the people. However, the book avoids mentioning why Lim Ribang, a Japanese-Korean in Japan who helped him stow away and she brother Lim Taejun were deported to Korea. Particularly, winners of the book review competition at the time interpreted Lim Ribang’s stowing away back to Japan simply as a personal love affair and, thereby, acted as an educational tool that omitted the cause of Koreans living in Japan that remnant of the post-war colon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근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후